[ME증시전망대] 중국 작년 4분기 GDP가 주목받는 이유

김기영 / 기사승인 : 2019-03-11 16:17:11
  • -
  • +
  • 인쇄

증시 관계자들의 이번 주 관심사는 21일 발표되는 중국의 작년 4분기 및 연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이다. 특히 전년 동기 대비 4분기 GDP 성장률이 초미의 관심사로 거론되고 있다. 이 수치를 보면 중국 경제가 미국의 거센 압박을 어느 정도나 견뎌냈는지를 알 수 있어서이다.


현재 시장의 컨센서스는 4분기 기준으로 6.4~6.45% 정도다. 작년 3분기 성장률은 6.5%였다.


만약 예상치를 크게 밑도는 수치가 발표될 경우 미·중 무역전쟁의 위력에 대한 불안감이 더욱 증폭되면서 시장에서는 불확실성이 덩달아 커질 수 있다.


중국 장쑤성의 한 의류공장. [사진 = AFP/연합뉴스]
중국 장쑤성의 한 의류공장. [사진 = AFP/연합뉴스]

반대로 컨센서스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성장이 이뤄졌다면 약간의 성장률 하락은 시장에 큰 충격을 가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에 대한 의지가 강하고, 그에 대한 시장의 기대도 작지 않기 때문이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작년 4분기 및 연간 GDP 성장률 속보치 역시 주요 관심사 중 하나다. 4분기 성장률이 1%(전분기 대비)에 미치지 못한다면 연간 성장률 목표치인 2.7%(전년 대비) 달성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작년 성장률이 목표치에 못 미칠 것이란 전망을 조심스레 내놓고 있다.


24일 열리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는 이변이 없는 한 증시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리 동결에 대한 전망이 워낙 우세하기 때문이다.


그보다는 같은 날부터 본격화될 주요 상장사들의 실적 발표가 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24일 실적 발표를 하는 주요 상장사로는 SK하이닉스와 현대자동차, LG생활건강 등이 꼽힌다. 그 다음날엔 삼성물산과 기아자동차, 현대모비스, 현대건설 등이 연이어 실적을 내놓는다.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진행 과정 역시 무시하기 어려운 대외 변수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유럽연합(EU)과 영국 정부 간 합의안이 한 차례 영국 하원에서 부결된 뒤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는 플랜B를 준비하느라 여념이 없다. 메이 총리는 21일(현지시간)까지 수정된 합의안인 플랜B를 의회에 제출해야 한다.


국내 주요 증권사들이 예상하는 이번 주 코스피 등락폭은 2100을 넘나드는 수준에서 형성돼 있다. NH투자증권이 2050∼2150, 하나금융투자는 2080∼2130, KTB투자증권은 2090∼2170, 케이프투자증권은 2080∼2160을 각각 제시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기영
김기영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롯데백화점, ‘멘즈 위크(Men’s Week)’ 행사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백화점이 전점에서 오는 12일(일)까지 단 6일간 '멘즈 위크' 행사를 개최하며 남성 패션 축제를 연다. 우선, 총 60여개 남성패션 브랜드가 참여해 최대 50%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 대표 참여 브랜드로는 ‘갤럭시’, ‘닥스’, ‘시리즈’, ‘송지오’, ‘바버’ 등이 있다. ‘시리즈’, ‘에피그램’, ‘커스텀멜로우

2

남양유업, ‘지역사회와 건강한 동행’...소외계층에 우유·발효유 지원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남양유업이 한부모 가정과 독거노인 등 지역사회 소외계층에 우유와 발효유를 후원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활동은 매월 정기적으로 운영하는 사회공헌 프로그램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건강한 동행'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이번 후원에는 남양유업 천안공장을 비롯한 전국 15개 사업장이 참여했다. 총 1만5000여 개 제품이 한국

3

BBQ, 세계 최대 식음료 박람회 아누가 참가…유럽에 K-치킨 알렸다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제너시스BBQ 그룹이 세계 최대 식음료 박람회인 ‘아누가(Anuga) 2025’에 지난 4일부터 8일까지 참가해 ‘K-치킨’을 알렸다고 8일 밝혔다. ‘아누가(Anuga)’는 독일 쾰른(Cologne)에서 2년마다 개최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식음료 박람회다. 전세계 118여 개국에서 16만 명 이상이 찾는 글로벌 행사로, '식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