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은 강한승 대표가 28일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대한민국 디지털 도약 전략 발표식'에 참석해 자사의 디지털 역량 활용 사례를 소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디지털 경제 패권 국가 실현' 등 디지털 정책 청사진을 발표하는 자리였다.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8일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 '대한민국 디지털 도약 전략 발표식'에서 강한승 쿠팡 대표가 자사의 디지털 역량 활용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쿠팡 제공] |
강 대표는 이날 발표식에서 "쿠팡은 지난 12년간 디지털 혁신을 통해 대한민국 국민들의 삶을 변화시켜 왔다"며 "로켓배송은 인공지능과 자동화 로봇 기술이 집약된 최첨단 물류 인프라 덕분에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쿠팡은 지난해 기술·물류 인프라 확보에 7500억 원 이상을 투자해 전국 30여 개 지역에서 100개 넘는 물류 인프라를 운영 중이다.
그는 "디지털이 고용을 줄일 것이라는 통념을 깨고 쿠팡의 디지털 기술은 고용과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졌다"며 "코로나로 힘들었던 지난 2년간 쿠팡이 국내에서 가장 많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었던 것도 디지털 혁신이 있어 가능했다"고 강조했다.
또 "물류 체계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근로자의 '안전'과 '효율'이라는 과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쿠팡은 물류센터를 과거와 달리 AI와 자동화 로봇 기술이 집적돼 근무 환경의 효율성을 높이는 최첨단 디지털 기술 현장으로 바꾸고 있다.
쿠팡의 AI 알고리즘은 제품의 배치와 함께 최적의 이동 경로도 직원들에게 알려준다.
AI 기반 피킹 알고리즘이 작업자의 노동 강도를 최대 40%까지 낮춘 사례도 소개했다.
회사 측은 "쿠팡의 빅데이터를 통한 수요 예측, 머신러닝을 활용한 재고 관리 시스템과 직매입 구조 덕분에 생산자와 판매자가 좋은 상품을 만드는 데에만 집중할 수 있어 온라인에서 안정적으로 판매가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강 대표는 "해외소비자들도 쿠팡을 통해 한국 제품을 손쉽게 구매할 수 있게 돼 국내 소상공인의 수출 가교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디지털 혁신을 통해 소비자, 근로자, 소상공인 등 지역 사회 모두가 골고루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