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N 제치고 게임주 대장된 ‘크래프톤’...상장 첫날 공모가 밑돌아 ‘호된 신고식’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08-11 03:42:11
  • -
  • +
  • 인쇄
상장 첫날 코스피 19위, 시총 22조로 증시 데뷔...공모가比 8.8%↓
장병규 의장, 주식평가액 3조 넘어 ‘벼락 재벌’...청약 불패 신화는 깨져

우여곡절 끝에 코스피에 입성한 크래프톤이 상장 첫날 넥슨, 넷마블, 엔씨소프트 등 ‘3N’을 제치고 게임업계 ‘대장주’ 자리를 꿰찼지만, 공모가를 밑돌면서 호된 신고식을 치렀다.

최근 대형 공모주들이 상장 후 ‘불패 신화’를 이어가면서 열풍을 일으켜왔지만, 이번 결과로 대세가 한풀 꺾일지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 크래프톤 유가증권시장 상장 [서울=연합뉴스]



‘배틀그라운드’로 유명한 게임사 크래프톤은 10일 코스피 시장에서 공모가 49만 8000원보다 8.84% 내린 45만 4000원에 장을 마쳤다.

시초가부터 하한선에 걸쳐 불안한 시작을 알렸다. 시초가는 공모가 90% 수준인 44만 8500원으로 결정돼 사실상 고평가 논란을 시장이 인정하는 셈이 됐다.

장 초반 매도 물량이 쏟아지면서 한때 10% 이상 내리며 40만 원대 붕괴 직전인 40만 500원까지 급락했다.

장중 약세를 보이던 주가는 장 막판 반등에 성공하면서 시초가보다 1.23% 오른 채 마감했다.

이날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22조 1997억 원으로 삼성전자 우선주를 제외한 코스피 19위에 올라섰다.

이는 크래프톤 상장 전까지 국내 게임사 대장주 자리에 올랐던 엔씨소프트(17조 8925억 원)를 단숨에 밀어내고, 2위 넷마블(11조 5607억 원)과는 무려 10조 원 이상 시총 격차를 벌리는 결과다. 일본 도쿄거래소에 상장된 넥슨(약 19조 8000억 원)보다도 주가가 높게 평가받았다.

하지만 상장 첫날 종가가 공모가보다 낮은 주식이라는 ‘불명예’를 피할 수는 없게 됐다.

 

▲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


크래프톤은 상장 과정에서 각종 논란에 시달리며 가시밭길을 걸어야 했다.

금융감독원에 처음 제출한 증권신고서에 공모가 산정 기준이 되는 비교회사로 국내외 게임사 외 월트 디즈니, 워너뮤직그룹 등 글로벌 콘텐츠 업체를 추가하자 ‘공모가 부풀리기’ 의혹이 곧장 불거졌다.

이후 금감원이 정정을 요구하자 크래프톤은 문제가 된 기업들을 제외하고, 희망 공모가 범위도 기존 45만 8000원~55만 7000원에서 40만 원~49만 8000원으로 크게 낮췄다.

‘원 게임 리스크’도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 1분기 영업수익 중 96.7%가 ‘배틀 그라운드’ IP로 발생해 의존도가 절대적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일반 공모 청약 마지막 날에는 때마침 중국발 게임 산업 규제 이슈가 터져 나와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높였다. 한 중국 관영 매체에서 게임을 ‘정신적 아편’이라고 비판하는 보도가 전해진 것이다.

크래프톤은 중국 내에서 텐센트를 통해 ‘배틀그라운드’를 서비스하는 정책을 펴고 있어 향후 게임 규제 리스크가 높아질 경우 타격이 불가피한 구조다.

이 같은 불안요소가 확대되면서 기관 수요예측과 일반 공모 청약에서도 연이은 부진을 겪으며 상장 후 주가 추이의 불확실성을 예고했다.

▲ 장병규 크래프톤 이사회 의장 [사진=크래프톤 제공]


한편, 크래프톤 최대주주인 장병규 의장은 주식평가액이 3조 원을 넘기며 ‘벼락 재벌’이 됐다. 장 의장은 크래프톤 지분 14.37%를 보유하고 있어 이날 종가 기준 주식평가액이 3조 1906억 원에 달한다.

구주 매출로 지분 전량을 팔아치운 3대주주 벨리즈원유한회사에 장 의장도 일부 출자한 것으로 알려져 이번 상장을 통해 현금화 가능한 자금 규모도 상당할 것으로 관측된다.

텐센트도 대박을 터트렸다. 텐센트의 자회사인 이미지프레임인베스트먼트는 크래프톤 지분 13.58%를 보유한 2대주주다. 김창한 대표, 김강석 전 대표 등 크래프톤 전·현직 경영진들도 주머니가 두둑해질 전망이다.

반면에 이번 공모주 청약에 참여한 투자자들은 당장 손실을 피할 수 없게 됐다. 크래프톤의 공모 규모는 4조 398억 원으로 삼성생명에 이어 역대 2위다.

▲ 크래프톤 제공


하지만 글로벌 게임 시장에서 사상 최고의 흥행을 거둔 배틀그라운드 IP의 독보적인 영향력과 곧 출시될 신작 ‘배틀그라운드 : 뉴 스테이트’의 성공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는 반론도 있다.

각종 이슈와 수급 문제로 당장 주가가 부진할 수 있지만 하이브처럼 고평가 논란을 잠재우고 높은 성장성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면 투자자들의 기대 심리가 살아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게임업계가 인기 IP를 바탕으로 다양한 콘텐츠 사업으로 공격적인 확장에 나서면서 향후 크래프톤의 성장 잠재력이 더 부각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서울창업허브 공덕X스케일업센터, 투자 유치 지원 사업 성료
[메가경제=정호 기자] ‘서울창업허브 공덕과 스케일업센터’(이하 서울창업허브)는 스타트업의 투자 유치를 지원하는 ‘제3회 스케일업위크’를 11개 참여기업과 함께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23일 밝혔다. 20일 ~ 22일 3일 간 열린 ‘서울창업허브 스케일업위크’는 보육기업의 투자 유치를 지원하기 위해 서울창업허브 스케일업센터 멤버십(VC, AC, 투자 유관기관

2

이디야커피, 해외 간편결제 서비스 도입
[메가경제=정호 기자] 이디야커피가 글로벌 관광객의 결제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위챗페이(WechatPay), 알리페이플러스(Alipay+), 유니온페이(UnionPay), 라인페이(Line Pay) 4종의 해외 간편결제 서비스를 전국 가맹점에 도입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해외 간편결제 서비스는 이날 순차 적용되며, 외국인 관광객들은 본인 국가에서 사

3

롯데중앙연구소 주니어보드, 서진학교 나눔마켓 수익금 전액 기부
[메가경제=정호 기자] 롯데중앙연구소는 서울 강서구에 위치한 특수학교인 서울서진학교에 주니어보드가 자발적으로 기획한 나눔마켓의 수익금 전액을 전달하고, 서진학교 재학 아동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냠냠연구소’ 봉사활동을 진행했다고 23일 밝혔다. 롯데중앙연구소 주니어보드는 MZ세대 직원으로 구성됐으며 사내 기업문화 혁신과제 도출 및 실행과 경영진과 직원 간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