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로라서' 장서희 "'인어아가씨' 발탁 후 삼천배...이후 10년간 매년 해"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3-17 09:09:52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배우 장서희가 드라마 ‘인어아가씨’로 첫 주인공을 맡은 뒤 삼천배를 한 비하인드 스토리를 공개한다. 

 

▲장서희가 방송에서 첫 자신의 솔로 라이프를 공개한다. [사진='솔로라서']

 

18일(화) 밤 방송하는 SBS Plus·E채널 공동 제작 예능 ‘솔로라서’ 11회에서는 2MC 신동엽, 황정음과 ‘솔로 언니’ 이수경이 함께하는 가운데, 장서희가 강원도 양양 낙산사를 찾아 자신만의 방식으로 마음의 평안을 찾는 모습이 그려진다.

 

이날 장서희는 “속초나 양양이 제게 좋은 기운을 주는 곳이라 자주 온다. 여기서 드라마 ‘아내의 유혹’을 촬영해 대박이 났고, 이후로도 좋은 일들이 많이 생겼다. 덕분에 중국 진출의 기회도 얻었다”고 밝힌다. 이를 들은 신동엽은 “중국에서 몇백억대 규모의 드라마를 찍었다던데?”라고 묻는데, 장서희는 “500억 원 규모였다. 

 

그런데 마치 제가 출연료로 500억 원 받은 것처럼 와전이 됐다”며 손사래를 친다. 그러자 신동엽은 “그럼 장서희 씨 출연료는 한 400억 정도?”라고 너스레를 떨어 모두를 폭소케 한다. 

 

이후 장서희는 낙산사 곳곳을 둘러보며 절을 올린다. 장서희는 절을 하는 이유에 대해 “31세 때, 드라마 ‘인어아가씨’에 캐스팅돼 첫 주연을 맡았다. 일생일대의 기회를 얻었지만, 제 스스로도 마음이 불안했다. 그래서 스님께 상담을 했더니, 삼천배를 해보라고 권하셨다”고 이야기한다. 그렇게 스님의 권유로 9시간에 걸쳐 삼천배를 했다는 장서희는 “직후 ‘인어아가씨’가 대박이 났고, 그 기운을 이어가고 싶어서 10년간 매년 삼천배를 했다”고 해 놀라움을 자아낸다. 

 

또한 장서희는 ‘인어아가씨’ 캐스팅 후 겪었던 마음고생에 대해서도 솔직히 고백한다. 그는 “제가 주연으로 캐스팅되자 ‘늘 작은 역할만 맡던 배우가 갑자기 주연이 됐다’며 의아해하는 시선들이 있었다. 그럴수록 더욱 오기가 생겼고, 절 무시하던 사람들을 떠올리며 연기를 했다”고 ‘복수의 여왕’에 등극할 수 있었던 영업 비밀(?)을 공개한다. 이를 들은 이수경은 “전 촬영 중간에 잘린 적도 있다”며 격하게 공감한다. 

 

황정음 역시 “저도 비슷한 경험이 있다”고 돌발 고백한다. 과연 두 여배우가 작품에서 강제 하차한 이유가 무엇인지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장서희는 낙산사 순회를 마친 뒤 ‘아내의 유혹’을 촬영한 근처 바닷가로 향한다. 여기서 그는 생각에 잠기더니 갑자기 눈가에 점을 찍는다. ‘아내의 유혹’ 민소희로 깜짝 변신한 장서희가 드라마 속 명장면을 재연에 나선 것인지, 돌연 점을 찍은 이유에 궁금증이 치솟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김건희 특검, 한문혁 검사 파견 해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수사를 이끈 한문혁 부장검사가 김 여사의 계좌 관리인으로 알려진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와 만난 정황이 드러나 업무에서 배제됐다. 김건희 특검팀은 26일 공지를 통해 “파견근무 중이던 한문혁 부장검사가 수사를 계속하기 어렵다고 판단된 사실관계가 확인됐다”며 “지난 23일 자로 검찰에 파

2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 11월 상시교육 실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NH농협은행은 전국 14개 청소년금융교육센터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11월 상시교육을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 ‘변화하는 돈의 가치’라는 주제로 학생들은 수요·공급 변화에 따른 물건 가격의 변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소비자물가지수 등에 대해 학습할 예정이다.본 교육은 총 14개 지역[서울(본부), 서울(강남), 강원, 경기,

3

LG전자, ‘Future 2030 서밋’ 개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LG전자는 6G, AI, 양자, 우주산업 등 미래 핵심기술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기술 주도권 선점을 위한 논의에 나섰다. LG전자는 지난 24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LG전자 서초R&D캠퍼스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과 함께 ‘Future 2030 서밋’을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