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푸드, 식품제조시설 폐기물 매립 제로화 앞장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4-07-29 08:14:31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신세계푸드가 폐기물 매립 제로화를 통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적극 실천하고 있다.


29일 신세계푸드는 이천공장과 천안공장이 글로벌 안전환경 검증기업 UL로부터 각각 폐기물 매립 제로 사업장 인증 최고 등급인 ‘플래티넘’과 ‘골드’ 인증을 받았다고 밝혔다. 

 

▲ 신세계푸드, 식품제조시설 폐기물 매립 제로화 앞장

폐기물 매립 제로(ZWTL, Zero Waste To Landfill)는 매립되는 폐기물의 양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사업장에서 발행하는 폐기물을 재활용, 재사용 등 다양한 처리방법을 검증한 뒤 그에 따른 등급을 부여한다. 글로벌 안전환경 검증기업인 UL은 사업장의 폐기물을 매립하지 않고 재활용하는 비율에 따라 ▲플래티넘(100%)▲골드(95∼99%) ▲실버(재활용률 90∼94%) 3개의 등급으로 인증한다.

신세계푸드의 식자재 전처리 등을 주로 담당하고 있는 이천공장의 폐기물 재활용 비율은 100%로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으로 폐기물 매립 제로 사업장 최고 등급인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이천공장은 2020년부터 지속적으로 제품 생산 단계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의 자원 순환율을 높이기 위해 폐기물을 매립이나 소각하는 대신 재활용하고 있다. 이천공장에서 발생하는 농산물 전처리 후 잔여물과 폐수처리오니는 전량 퇴비와 사료로 제조되어 재활용되며, 비닐이나 플라스틱류 등의 폐합성수지는 고형연료 또는 재생 원료인 펠렛(Pellet)으로 만들어져 재사용 된다.

신세계푸드 천안공장은 폐기물 재활용 비율 98%를 인정받아 폐기물 매립 제로 사업장 인증 ‘골드’ 등급을 받았다. 생지, 빵, 케이크, 과자류 등을 생산하는 천안공장은 2021년부터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식물성 잔재물, 폐수처리오니, 폐합성수지 등 연간 2,000톤 이상의 폐기물의 자원 순환율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이어왔으며, 현재는 폐기물 대부분을 재활용 처리하고 있다. 특히 식품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식물성 잔재물은 가축 사료로 제조되어 재활용되고, 폐수처리오니는 퇴비화 되어 농업생산활동에 사용된다. 폐합성수지는 원료로 재활용되고 있다.

신세계푸드 관계자는 “폐기물 저감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들로 이천, 천안공장이 각각 최고 등급인 플래티넘과 골드 인증을 나란히 받는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사업분야에서 발생하는 폐자원을 새롭게 재활용하여 자원순환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며 ESG 경영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비상교육, 대한민국디자인대상 디자인 부문 ‘대통령 표창’ 수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비상교육은 제27회 대한민국디자인대상 디자인 경영 부문에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고 12일 밝혔다. ‘대한민국디자인대상’은 창의적인 디자인 경영으로 국가 디자인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경제 발전에 기여한 기업, 기관, 개인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국내 디자인 분야에서 최고의 권위를 가진 상으로 평가된다.비상교육은 2018년 교과서 발행

2

라이온하트 스튜디오, ‘발할라 서바이벌’ 8챕터 업데이트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라이온하트 스튜디오는 핵앤슬래시 로그라이크 게임 ‘발할라 서바이벌’에서 8챕터 ‘바나하임 남부’ 지역을 비롯한 다양한 콘텐츠 업데이트를 실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는 신규 전장 공개와 함께 캐릭터 성장의 재미를 강화하는 콘텐츠로 구성됐다. 먼저, 신족의 수중 도시를 무대로 한 8챕터 ‘바나하임 남부’가 추가돼 색다른 전

3

지성원 현대차 전무, 디자인대상 '대통령상 표창' 수상
[메가경제=정호 기자] 현대자동차 지성원 전무가 제27회 대한민국디자인대상에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현대자동차가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코엑스 그랜드컨퍼런스룸에서 열린 제27회 대한민국디자인대상 시상식에서 브랜드마케팅본부장 지성원 전무가 디자인공로 부문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고 12일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하는 대한민국디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