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로 연기된 이베이코리아 본입찰, 오리무중 상황에 속타는 롯데·신세계

박종훈 / 기사승인 : 2021-05-21 08:44:05
  • -
  • +
  • 인쇄
전통있는 유통 강호지만 맥 못추는 온라인

5월 예정됐던 이베이코리아 본입찰이 6월로 연기되며 이커머스 공룡 탄생은 점점 오리무중이다. 게다가 점유율 1위 네이버의 행보도 주목된다.
 


 

본입찰 숏리스트에 오른 선수들은 신세계그룹, 롯데그룹, SK텔레콤, MBK파트너스 등 네 곳이다. 

 

이베이코리아의 올 1분기 매출은 3억8900만달러, 4377억원으로 전년동기 3억1200만달러, 3515억원보다 약 25% 가량 늘었다. 이는 역대 분기별 최대 실적.

인수전을 앞두고 몸값 올리기 겸 이달 초 진행한 이베이코리아의 최대 쇼핑 축제 '빅스마일데이'는 7회 전체 누적 판매량 2억508만개에 달하는 등 성황이었다.

특히 고가 브랜드 가전·디지털기기 등의 판매가 기대되는 가운데, 거래액 규모 역시 주목할 만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이커머스 시장 점유율로 봤을 때, 이베이코리아는 12% 수준으로, 17% 수준의 네이버, 13% 수준의 쿠팡에 이어 세 번째다.

11번가, 롯데온, SSG닷컴 등의 다음 주자들은 이베이코리아와 점유율 면에서 약 두 배가량 격차가 벌어진다.

따라서, 숏리스트에 이름을 올린 네 명의 주자는 모두 갈급하다.

올 1분기 실적을 들여다봐도, 이들 모두 이베이코리아 인수로 턴어라운드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신세계 SSG닷컴은 매출 성장 및 영업손실 축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온라인 비즈니스는 갈 길이 멀다. 이마트 등 오프라인 영역의 입지를 생각하면, 온라인 부문이 치고나가는 힘은 다소 미약하다.

롯데의 경우, 상황이 더 급하다. 자타공인 유통 대표기업임에도 온라인 부문 사업은 명성에 걸맞지 않다.

남들보다 뒤늦게 출범한 롯데온은 매출이 41.9% 감소, 영업손실 역시 290억원을 기록하며 두 배 가량 적자가 커졌다.

대표적인 유통 그룹 두 곳은 ▲오프라인 비즈니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라인이 취약하다는 점 ▲경쟁 그룹이 이베이코리아를 품는 것이 가장 경계해야 할 점이라는 부분에서 동병상련을 느끼고 있다.

그런 가운데, 신세계그룹이 네이버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함께 이베이코리아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도 들려왔지만, 양사 모두 아직 확정된 사안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양사는 지난 3월 2500억원 규모 지분 맞교환을 추진하며, 온라인과 오프라인 영역에서 유통 동맹을 맺은 바 있다. 이를 기반으로, 이번 이베이코리아 인수전에서도 다시 협력할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다.

이커머스 1위라고 하지만 네이버가 경계해야 할 경쟁자는 다름아닌 쿠팡. 뉴욕증시 상장 이후 쿠팡은 여전히 공격적으로 시장을 삼키고 있다.

 

[메가경제=박종훈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박종훈
박종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추석 과일 가격 걱정인데...사과·배 도매 가격 '하락' 전망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추석을 앞두고 명절 수요가 많은 사과·배 출하가 지난해보다 늘어 도매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추석 성수기(추석 전 2주) 사과와 배 출하량이 각각 작년 대비 7% 늘 것으로 예측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추석이 10월 6일로 지난해(9월 17일)보다 20일 가까이 늦어 출하량이 늘었다고 분석

2

신세계그룹, 12년째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이어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그룹이 ‘청년을 위한 인문학 사회공헌 프로젝트, 지식향연’을 12년째 이어가고 있다. 전 국민이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비전 아래 2014년 출범한 지식향연은 일회성 강연에 그치지 않고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인문학 지식나눔, 인문학 콘텐츠 발굴을 목표로 매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지식향연 프로젝트를 통해 인문학

3

롯데마트, 민들레학교에 친환경 업사이클링 시설물 기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마트는 지난 5일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구리광장에서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시설물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진주태 롯데마트·슈퍼 준법지원부문장, 김준현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본부장, 이양현 구리남양주민들레학교장을 비롯해 구리시민 5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전달식은 지난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