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수 사항 권익위, 고용노동부 등 관련 기관 신고
흥국생명 금감원 종합검사 내부통제 중점 점검 전망
![]() |
▲ 서울 광화문 흥국생명빌딩 전경 [사진=태광그룹 제공] |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흥국생명 성추행사건 영향이 그룹 전반에도 확산되고 있다. 시민단체가 태광그룹 성추행 및 갑질 신고 창구를 마련해 대응에 나섰다. 금융감독원 종합검사에서 흥국생명은 내부통제 시스템도 중점 점검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15일 태광그룹개혁협의회는 '태광그룹 직장 갑질 및 성추행 신고센터'를 개소했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현직 계열사 노조와 하청업체 노조, 해직자 모임, 소액주주 등이 연합해 만들어진 조직이다. 흥국생명 성추행 사건을 계기로 신고센터를 운영하기로 했다.
지난 1월 경기 부천 소재 흥국생명의 한 TM지점에서 지점장 A씨가 여직원 2명의 윗옷 안에 양손을 넣는 추행을 저질렀다. A씨는 내부 회의시간에 직원들에게 사과했지만 "본사에서 어떤 행동을 취할지 모르겠다. 외부에 나가면 문제가 복잡해진다"라며 외부에 알리지 말라는 취지의 말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성추행 사건 진상조사를 위해 파견된 본사 임원이 지점장의 30년 친구이자 동기로 회사에 보고하지 않고 피해자에게 실적 압박 등으로 2차 가해한 사실이 알려져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논란이 일자 흥국생명 측은 A지점장과 임원에 대한 해임절차를 진행하는 한편 지난달 말일자로 퇴사 조치했다. 이 과정에서 회사측의 늦장대응도 문제가 됐다. 흥국생명 측은 피해자가 성추행 사건을 경찰에 신고한 후에야 가해 지점장과 임원을 해임했다. 결국 본사 감사실이 몰랐다는 해명과 다르게 피해자들이 커뮤니티에 글을 올리고, 경찰에 신고해 언론에서 취재가 시작되자 그제서야 인사 조치가 이루어졌다는 논란이 이어졌다.
![]() |
▲ 이미지=태광그룹개혁협의회 |
협의회는 갑질 및 성추행 등의 신고을 받고 접수된 사항에 대해 신고자와 상의한 뒤 국민권익위원회와 고용노동부 등 관련 기관에 신고를 돕고, 언론 제보를 통한 공론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또한 협회 차원에서 회사에 피해 사실을 알리는 내용증명을 보내 피해자를 보호하고 문제를 해결할 방침이다.
협의회 관계자는 "태광그룹 계열사 내 드러나지 않은 갑질과 성추행 사건을 공론화할 것"이라며 "피해자를 보호하고 신고자가 원하는 방향대로 처분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말 콜옵션 미이행 사태로 논란이 된 흥국생명에 대해 이번주부터 정기 종합 검사를 진행중이다. 내달 초 본 검사를 진행할 예정으로, 흥국생명은 지난달 중순 재무구조 개선안 등을 포함해 금감원이 요구한 사전자료를 제출한 상태다.
흥국생명은 지난해 11월 미화 5억 달러(약 6800억 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에 대한 콜옵션(조기상환권)을 미이행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채권시장에 큰 논란을 야기했다. 결국 번복했지만 이 과정에서 흥국생명 재무건전성은 크게 악화됐다. 회계규정 상 자본으로 인식되는 신종자본증권을 부채로 인식되는 환매조건부채권 발행으로 상환했기 때문이다.
흥국생명의 모기업인 태광그룹이 자본 확충에 관여, 시장의 신뢰 회복과 사회적 기대에 부응한다는 취지로 약 4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방안을 내놓았다가 또 한번 논란을 일으켰다. 이에 태광산업의 흥국생명 지원은 대주주 보호가 목적이고, 지원시 태광산업의 일반 주주가치가 훼손될 위험이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 결국 태광산업은 흥국생명의 유상증자 참여를 철회하는 대신 태광산업을 제외한 계열사들이 참여했다.
금감원은 이번 정기 종합검사에서 유상증자 방안을 포함한 재무구조 개선방안 등을 중점적으로 들여다 볼 예정인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한편, 최근 흥국생명은 지점에서 성추행 관련 사건으로 지점장과 임원이 해임되는 등 연이은 악재가 터지면서 내부통제 역시 감독당국의 조사대상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