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영현 부문장, 부진한 실적 사과 "기술 근원적 경쟁력 복원할 것"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삼성전자의 2024년 3분기 잠정 실적이 시장의 예상치를 밑돌았다. 특히 반도체 부문의 고전이 실적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영현 삼성전자 DS부문장은 부진한 실적에 대해 사과하며, 기술 근원적 경쟁력을 복원하기 위한 노력을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8일 연결기준으로 매출 79조원, 영업이익 9.1조원의 3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이는 전기 대비 매출은 6.66% 증가, 영업이익은 12.84% 감소했고, 극심한 실적 부진을 겪었던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기저효과로 인해 매출은 17.21%, 영업이익은 274.49% 증가했다.
![]() |
▲ 삼성전자 서초 사옥. [사진=삼성전자] |
잠정 실적은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IFRS)에 의거해 추정한 결과이며, 아직 결산이 종료되지 않은 가운데 투자자들의 편의를 돕는 차원에서 제공되는 것이다.
이는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추정한 3분기 잠정 실적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인 매출 80조9003억 원, 영업이익 10조7717억 원보다 낮은 수치이다.
업계에서는 당초 우려했던 위기 수준은 아니지만, 긍정적인 신호로도 받아들이지 않는다. 오히려 핵심 사업인 반도체 부문의 부진을 우려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
삼성전자는 HBM(고대역폭메모리) 시장 진입이 경쟁사 대비 늦어지면서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인공지능(AI) 서버 수요 급증으로 HBM 시장이 성장세를 보이는 가운데, 삼성전자는 범용 D램 부문의 수요 부진과 맞물려 양극화 현상을 겪고 있다는 것이 대체적인 중론이다.
무엇보다 파운드리와 시스템LSI 등 비메모리 사업은 3분기에도 적자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회성 비용 발생과 원·달러 환율 하락 등도 수익성 악화에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짐작된다.
거시 경제 부진으로 인해 PC, 모바일 등 완제품 시장의 회복이 더디게 진행되면서 삼성전자의 실적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대체로 삼성전자에 향후 HBM 경쟁력 강화와 함께 비메모리 사업의 수익성 개선, 시장 환경 변화에 대한 빠른 대응을 요구한다.
한편 이날 전영현 삼성전자 DS(반도체사업) 부문장(부회장)은 “고객과 투자자, 그리고 임직원 여러분, 오늘 저희 삼성전자 경영진은 여러분께 먼저 송구하다는 말씀 올린다”고 운을 뗀 뒤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과로 근원적인 기술경쟁력과 회사의 앞날에 대해서까지 걱정을 끼쳤다”고 사과했다.
전 부회장은 이어 “삼성은 늘 위기를 기회로 만든 도전과 혁신, 그리고 극복의 역사를 갖고 있다”며 기술의 근원적 경쟁력 복원, 완벽한 품질 경쟁력, 미래를 보다 철저히 준비하는 도전정신, 신뢰와 소통의 조직문화 재건 등으로 재도약의 계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