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 계좌서 스미싱 사고···고객과 '늑장대응' 책임공방

황동현 / 기사승인 : 2023-03-07 16:36:31
  • -
  • +
  • 인쇄
스마트폰 해킹 고객 신고에도 즉시 거래 정지 안해
고객센터 신고 처리, 계좌정지 고객과 책임소재 다퉈
피해고객, 경찰에 수사의뢰
▲ 케이뱅크 사옥 전경 [사진=케이뱅크 제공]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케이뱅크가 고객으로 부터 해킹 의심 신고를 받고도 거래정지 조치를 취하지 않아 고객돈이 무단으로 해외 송금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책임소재를 두고 고객과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해킹방지 시스템에 헛점이 있는 게 아닌지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 고객인 A씨는 은행의 늑장 조치로 자신의 계좌에서 돈이 빠져나갔는데도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며 이에 대해 배상할 것을 요구했다. 이번 사고와 관련해 경찰에 신고를 마쳤고 조사도 받을 예정임도 밝혔다.

 

A씨는 지난달 “택배가 잘못 배송됐다”는 문자 메시지에 담긴 링크를 무심코 클릭했는데 스마트폰이 해킹을 당하는 스미싱 피해를 봤다. 이어 케이뱅크로 부터 “본인 휴대폰 번호가 변경돼 안내를 드린다. 변경 사실이 없는 고객은 고객센터로 연락을 달라”는 카카오톡 메시지를 받았다. 

 

해킹을 의심한 그는 바로 케이뱅크 고객센터에 전화해 계좌를 즉시 정지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케이뱅크 대출 상담원은 “스미싱 피해 전담 상담원과 연결해주겠다”며 계좌 정지를 미뤘다. A씨가 전담 상담원 전화를 기다리던 중 스마트폰은 먹통이 됐고 그사이 A씨의 계좌에서 550만원 가량의 돈이 무단으로 해외 송금됐다.


당황한 A씨는 케이뱅크 측의 늑장 조치로 자신의 계좌에서 돈이 빠져나갔다며 항의하고 배상을 요구했지만 케이뱅크는 잘못을 인정하지 않았다.

 

케이뱅크 측은 “고객과 최초 통화하던 중 돈이 빠져나갔다. 피해 내용을 확인한 즉시 계좌를 정지하고 다른 은행과 해외 송금업체에 의심 거래에 제보했다”고 설명했다.

 

또, "사기 피해 전담부서를 배치해 대응하고 있으며 다양한 전기통신금융사기 기법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탐지 시나리오를 고도화하고 있다"고 부언했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한편에서는 케이뱅크의 시스템을 지적하고 있다. 스미싱 피해의 경우 돈이 인출되기 전 신속한 대처가 관건이기 때문에 모든 상담원에게 계좌 즉시 정지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인터넷전문은행 고객수가 크게 늘어나면서 금융사기에 악용되는 사기이용계좌도 매년 급증하고 있다. 특히 신종 금융사기가 대부분 20~30대 젊은층을 대상으로 발생하면서 해당 연령대에서 사용 비중이 높은 계좌들이 금융사기 범죄의 타겟이 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케이뱅크가 인터넷전문은행으로 일반계좌 전환도 상대적으로 쉽고 1위 가상자산거래소와 제휴를 맺다보니 사기성 거래 쏠림이 많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작년 상반기 286건에 불과했던 케이뱅크 사기이용계좌는 하반기에는 상반기 대비 약 2.7배 많은 776건까지 늘었다. 특히 지난해 11월과 12월 두 달동안 527건이나 발생하면서 급증하는 추이를 보였다. 금융사기 피해 고객 보호를 위한 케이뱅크의 내부 통제 시스템 개선이 시급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동양레저, 핵심 자산 매각 위기에도 내부 감사 기능 부실 논란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동양레저는 경기도 안성 파인크리크CC(27홀)와 강원도 삼척 파인밸리CC(18홀) 등을 운영하고 있는 레저 회사로 최근 ‘핵심 자산 매각 위기’에 몰린 가운데, 회사 내부의 감시 시스템마저 유명무실하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27일 업계에 따르면, 동양레저는 핵심 사업장인 골프장 2곳이 매물로 나올 것으로 보여 사업

2

CARLYN(칼린), 티몰이 뽑은 ‘올해의 성장 브랜드상’수상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예진상사의 디자이너 브랜드 칼린(CARLYN)이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알리바바 티몰(Tmall)이 주관하는 신흥 브랜드 육성 프로그램에서 ‘올해의 성장 브랜드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는 중국 시장에서 칼린이 거둔 성과와 함께,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다. 티몰은 2025년부

3

“홈플러스는 농협이 인수해야 맞는 시나리오”…10년전 정용진 신세계 회장 발언 주목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홈플러스 인수 인수의향서 접수 마감이 얼마 남지 않은 가운데, 10여년 전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당시 부회장)의 발언이 다시 회자되고 있다.27일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최근 정치권과 노동계에서 농협이 홈플러스를 인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10여년 전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당시 부회장)의 발언이 회자되고 있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