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중앙회, 리스크관리시스템 고도화 완료

오민아 기자 / 기사승인 : 2024-05-29 11:09:11
  • -
  • +
  • 인쇄
시스템 최신화 및 확장 통한 선제적 리스크관리 목적
급변하는 금융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

[메가경제=오민아 기자] 새마을금고중앙회(회장 김인)는 2024년 5월, 리스크관리시스템의 고도화를 완료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기존 시스템 인프라 개선과 신규 업무 화면 개발 등 업무 영역 전반에 걸쳐 이뤄졌으며, 새마을금고는 이를 통해 급변하는 금융환경에 선제적인 리스크관리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리스크관리시스템은 시장·신용·ALM·공제·금고리스크 등 새마을금고의 각종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 새마을금고 IT센터. [사진=새마을금고중앙회]

 

이번 사업을 통해 새마을금고는 기존 소프트웨어(S/W) 버전 업데이트 및 하드웨어 증설, 신규 S/W 도입 등 체계화된 리스크 데이터 관리·배치를 위한 환경을 마련했다. 

 

또한 리스크관리 업무담당자별 의견을 신규 화면 개발 등 시스템 각 부분에 반영하여 리스크관리를 보다 실무적으로 체계화시켰다. 

 

뿐만 아니라 서버 및 DB 이중화로 어느 상황에서든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여 장애시에도 조기복구를 통해 업무연속성 및 안정성을 확보했다. 

 

리스크관리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데이터 관리이다. 새마을금고 및 중앙회는 이를 위한 통합 RDM(Risk Data Mart)를 구축해 방대한 데이터를 이전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정확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데이터들은 업무 흐름별로 다시한번 검증 작업을 거쳐 향상된 정합성을 갖추게 된다. 

 

이는 정확한 리스크 측정을 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이 데이터를 활용해 금융당국의 요구에 적시 대응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함으로써 새마을금고는 앞으로 급변하는 금융환경에 체계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새마을금고 리스크관리시스템 고도화 사업은 2023년 7월부터 시작하여 안정화기간 1개월을 포함해 총 11개월의 일정으로 진행된다. 2024년 5월 새로운 시스템을 오픈하였으며 2024년 6월까지는 안정화기간을 거칠 예정이다. 

 

김인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은 “리스크관리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새마을금고 및 중앙회의 리스크관리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이번 사업을 통해 급변하는 금융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민아 기자
오민아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