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은 3일 ESG 리포트를 통해 오는 2025년까지 한국·북미·유럽·중국 등 글로벌 전 배터리 생산공장의 RE100 전환을 완료하고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RE100은 ‘재생전기 100%’의 약자로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량 전체를 오는 2050년까지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목표의 국제 캠페인이다.
![]() |
▲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CEO(부회장) [LG에너지솔루션 제공] |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CEO(부회장)은 리포트 인사말을 통해 “배터리는 인류의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도구이자 미래 핵심 산업”이라며 “LG에너지솔루션은 경영 전반에 걸쳐 탄소중립을 넘어 ‘탄소 네거티브’ 실현을 궁극적 목표로 삼고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국적 비영리 기구 ‘더 클라이밋 그룹’과 ‘CDP’가 발표한 ‘2021 RE100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의 재생에너지 전환율은 지난 2020년 기준 33%다. 이는 국내 RE100 가입 14개 기업 가운데 1위 기록이라는 게 이 회사의 설명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말 재생에너지 전환율을 60% 이상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오는 2025년 전 세계 생산시설 RE100 전환을 완료한 뒤 2030년까지 비생산 시설도 RE100 달성을 완료하기로 했다. 이후 2040년까지 사용하는 모든 전기‧연료‧가스 사용으로 발생하는 탄소의 제로화를 달성한다.
또 오는 2050년까지 원재료(광산)부터 배터리 생산까지 이르는 모든 밸류체인의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삼았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오는 2050년까지 모든 협력 회사의 탄소 배출량을 모니터링하고 RE100 참여와 탄소 저감 활동 지원을 통해 전 밸류체인의 탄소중립을 달성할 것”이라고 전했다.
![]() |
▲ LG에너지솔루션 직원들이 ESG리포트를 소개하는 모습. [LG에너지솔루션 제공] |
이날 LG에너지솔루션은 ESG 리포트를 통해 ▲탄소중립 ▲자원 선순환 ▲책임 있는 공급망 관리 ▲다양성·공정성·포용성을 통한 조직문화 관리 등 ESG 경영 선도를 위한 4가지 핵심 영역의 성과‧비전을 공개했다.
‘자원 선순환’ 부문의 경우 내년까지 모든 사업장에서 ‘폐기물 매립 제로화’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LG에너지솔루션은 내년 전 사업장의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 획득을 목표로 삼고 다양한 폐기물 처리 기술을 개발 중이다.
앞서 중국 남경 공장은 글로벌 인증기관인 UL로부터 자원 순환율 100%를 인정받아 최고 등급 플래티넘을 획득한 바 있다. 미국 미시간 공장은 미국위생협회 NSF로부터 지난 2018년부터 5년 연속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을 취득했다.
‘책임 있는 공급망 관리’ 부문에서는 노동‧안전보건‧환경‧기업윤리 등 공급망 전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사전 예방하기 위해 국내외 사업장과 협력사의 RBA 기준 행동규범에 따른 운영 사항을 점검·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RBA는 글로벌 공급망의 지속 가능성을 도모하는 국제 협의체로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11월 국내 배터리 업계 최초로 가입했다.
이번 ESG 리포트에는 국내외 임직원뿐 아니라 협력사 임직원들의 ESG 업무 경험 이야기 등 실제 현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ESG 활동도 담아냈다. 리포트 발간에 100% 재생 용지와 콩기름 잉크를 사용한 점도 특징이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