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차별화, ROE·PBR 개선 등 주주가치 제고 나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차증권이 2000억원 규모로 유상증자를 진행하는 가운데 대주주사인 현대차, 현대모비스, 기아가 약 673억원의 유상증자 배정 물량에 전량 참여를 결정했다.
13일 현대차증권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달 26일 이사회를 열고 주당 6640원에 약 3012만주의 신주를 발행하는 2000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 |
▲[사진=현대차증권] |
이후 최대주주인 현대차는 하루만인 27일 이사회를 열고 현재 기준 현대차증권에 대한 보유 지분율 25.43%에 해당하는 배정 물량인 약 564만주 전량을 청약할 예정이며 375억원을 출자한다고 밝혔다. 2대 주주인 현대모비스 또한 현대차증권 보유 지분율 15.71%에 해당하는 배정 물량인 약 349만주 전량 청약할 예정이며 231억원을 출자하기로 결정했다.
3대 주주였던 기아도 보유 지분율 4.54%에 따라 배정된 물량인 약 101만주를 전량 청약할 예정으로 67억원을 출자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보유 지분율은 각각 22.17%, 13.70%, 3.95%로 줄게 된다.
유상증자 배정 물량의 100%를 참여하는 현대차그룹 주주의 합산 물량은 전체의 약 34%에 해당하며, 주주가치 희석에 대한 우려도 일정 부분 상쇄할 수 있을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약 15년 만에 진행되는 이번 현대차그룹의 증자 참여는 현대차증권이 현대차그룹에 편입된 2008년도와 이듬해인 2009년도에 이어 세 번째다. 두 번의 유상증자 참여 이후 현대차증권은 약 7000억원의 이익을 창출해 자기자본으로 편입하며, 현재는 약 3배에 가까운 1조2000억원의 중형 증권사로 성장했다.
국내 신용평가사 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차증권은 이번 유상증자로 신용도 하향 압력이 완화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NICE신용평가는 현대차증권이 증자 완료 시 올해 3분기 말 기준 자기자본 약 1조 2900억원에서 1조 4900억원으로 늘어난다고 판단했다. 한국기업평가는 자기자본이 늘어나면 자본 건전성을 판단하는 지표인 수정NCR과 순자본비율이 각각 267%, 636.4%로 대폭 개선된다고 밝혔다.
업계 안팎에서는 자기자본의 레버리지(차입) 한도로 영업 규모가 결정되는 금융투자업의 특성상 확충된 자본을 바탕으로 부채자본시장(DCM) 및 주식자본시장(ECM), 기업공개(IPO), 인수물량 확대 등 기업금융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대차증권은 이번 조달 금액 2000억원 중 1000억원은 차세대 시스템 개발 구축 및 AI 투자 서비스 차별화 등에 쓰겠다는 입장을 냈다. 디지털 인프라 구축에도 투자를 이어나가 미래 성장 동력인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또, 자기자본이익률(ROE), 주가순자산비율(PBR) 개선 등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한 움직임도 이어갈 예정이다.
배형근 현대차증권 사장은 "대대적인 인적 쇄신, 조직 개편 단행과 함께 이번 유상증자로 늘어나는 자기자본을 바탕으로 기업 밸류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