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25·CU와 3강 구도 고착...경쟁 활성화로 소비자 편익 늘 것
편의점 세븐일레븐을 운영하는 롯데그룹 계열사 세븐일레븐이 업계 5위 한국미니스톱 인수를 확정하고 GS리테일(GS25)·BGF리테일(CU)과 함께 ‘편의점 3강(强) 굳히기’에 나선다.
이번 인수로 세븐일레븐은 편의점 업계 4위인 이마트24의 점포 수를 큰 격차로 앞서며 3위 자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한편, 3강 경쟁은 한층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 |
▲ 각사 로고 |
공정거래위원회는 코리아세븐이 한국미니스톱을 인수하는 건에 대해 편의점 프랜차이즈 시장 등에서 경쟁 제한 우려가 없다고 판단해 22일 승인했다고 밝혔다.
앞서 롯데그룹은 올해 1월 21일 일본 이온그룹 산하 미니스톱으로부터 한국미니스톱의 주식 100%를 약 3133억 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한 뒤 공정위에 기업결합을 신고했다.
한국미니스톱 지분은 코리아세븐의 자회사인 롯데씨브이에스에서 최종 인수했다.
지난해 기준으로 코리아세븐과 한국미니스톱은 전국에 각각 1만 1173개, 2602개의 편의점을 보유하고 있다.
공정위는 양사의 합병이 수평결합 측면에서 편의점 프랜차이즈 시장에 미치는 경쟁 제한 우려가 적을 것으로 판단해 결합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공정위가 이번 심사에서 편의점 시장의 시장집중도, 수요 대체성, 인접 시장의 경쟁압력, 협조행위 가능성 등을 검토한 결과에 따르면 관련 시장에서의 경쟁이 실질적으로 제한될 우려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편의점 프랜차이즈 시장은 2020년 매출액 기준 19조 9134억 원 규모로 GS리테일(35%)·CU(31%)가 2강, 코리아세븐(20.4%) 1중(中), 이마트24(8.2%)·미니스톱(5.4%)이 2약(弱)의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공정위는 이번 기업 결합을 통해 업계 3위 코리아세븐의 시장점유율이 25.8%로 올라 1·2위와 격차를 줄인다면 상위 3사 간 경쟁이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소비자들이 일상 이동 경로 중 접근성이 좋은 편의점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결합회사 간 대체 관계가 높다고 보기 어렵지만, 소형 슈퍼마켓 등 오프라인 경쟁압력뿐만 아니라 최근 B마트, 요마트, 쿠팡 등 ‘퀵커머스(Quick Commerce)’로 불리는 인접 시장의 경쟁압력까지 고려하면 코리아세븐이 단독으로 경쟁 제한행위를 할 우려가 낮다고 봤다.
또 신세계그룹의 이마트24가 편의점 시장에서 약진 중이라고 판단해 시장 구조를 고착시키는 협조행위의 유인이 낮은 것으로 결론지었다.
▲ 편의점 프랜차이즈 시장 현황 [자료=공정거래위원회] |
한편, 공정위는 롯데그룹 계열사인 롯데제과, 롯데칠성음료, 롯데푸드 등이 편의점에 음식품류를 공급하고 있어 수직결합 측면의 영향도 살펴봤다.
공정위 검토 결과 결합 전부터 롯데그룹이 편의점 사업과 식음료품 사업 간 수직통합을 형성했고, 다른 편의점 경쟁사업자가 경쟁에서 배제될 정도로 공급조건을 차별한 정황이 없었다.
아울러 제과·음료·빙과 등 식음료품 시장에 대체 공급사업자들이 충분히 존재하고 있는 점도 고려됐다.
또 이번 결합에 따른 편의점 시장에서의 점유율 증가분이 5%포인트 수준이고, 롯데 계열사의 식음료품 매출 중 미니스톱의 구매력이 1% 미만에 불과해 봉쇄 유인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는 판단을 내렸다.
공정위 관계자는 “이번 기업결합으로 3위 사업자와 기존 1·2위 사업자 간 시장점유율 격차가 줄어들어 3강 체제가 강화되면 편의점 시장의 경쟁이 활성화돼 소비자 편익은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퀵커머스·라스트마일 딜리버리 등 온·오프라인 연계를 통한 새로운 경쟁의 장도 빠르게 펼쳐질 것”으로 내다봤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