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사외이사 평균연봉 5000만원…엔씨·삼성전자·삼성물산 톱3, ‘억대’

최낙형 / 기사승인 : 2021-02-08 12:09:03
  • -
  • +
  • 인쇄
300대 주요기업 2019년 기준 사외이사 및 상근 감사 보수 현황 분석
사외이사 1000여명 1인당 평균 보수 4880만원…상근 감사 평균 7620만원
전자 6800만원 vs 패션 3000만원…억대 급여 받는 상근 감사도 30명 넘어

[메가경제=최낙형 기자] 국내 300대 주요 기업 사외이사 1000여명이 1년간 받은 급여는 1인당 평균 5000만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외이사 평균 보수가 억대 이상인 경우는 전체의 1.6%로, 엔씨소프트, 삼성전자, 삼성물산 등인 것으로 조사됐다.

8일 글로벌 헤드헌팅 전문업체 유니코써치는 ‘국내 주요 300대 기업의 2019년 사외이사 및 상근 감사 보수 현황 분석’에서 이 같이 결과가 도출됐다고 밝혔다.
 

▲[도표=유니코써치 제공]


조사 대상 300대 기업은 15개 주요 업종별 매출 상위 20개 기업씩 총 300개 상장사다. 조사는 지난 2020년 3월 말 공시된 사업보고서를 참고해 이뤄졌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300대 기업에서 활동 중인 사외이사는 모두 987명으로 1000명에 육박했다. 보수를 받는 사외이사는 크게 감사위원회에 속해 감사위원을 겸하는 사외이사와 감사위원을 따로 맡지 않는 일반 사외이사 두 그룹으로 나뉜다.

이번 300대 기업 중 감사위원을 겸하는 사외이사 비율은 61.1%인 603명으로 집계됐다.

이번에 파악된 300대 기업 내 사외이사 987명에게 지급한 연간 급여 총액은 481억원이었다. 사외이사 한 명에게 지급된 연간 평균 보수는 4880만원 수준으로 파악됐다.

이 중 감사위원을 겸하는 사외이사들은 1인당 연평균 5290만원으로 일반 사외이사 4239만원보다 1052만원이 더 많았다.


▲[도표=유니코써치 제공]


사외이사의 보수 격차도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1000여명의 사외이사 중 연간 억대 이상 급여를 받는 인원 비율은 1.6%였다. 반면 연간 보수가 1000만원도 되지 않는 비율도 2.4%로 대조를 보였다.

사외이사 급여를 1000만원 단위로 살펴보면 9000만원대(9000만원~1억원 미만) 2%, 8000만원대 4.3%, 7000만원대 9.6%, 6000만 원대 13.3%, 5000만원대 12%로 파악됐다. 3000만원대는 19.8%로 가장 많았고, 4000만원대도 16.2%나 됐다.

전체적으로 사외이사 보수는 3000~5000만원 미만이 35% 이상 차지했다. 2000만원대는 12.5%, 1000만원대 6.4%로 조사됐다.

사외이사 1인당 평균 보수가 억대 이상 되는 곳은 300곳 중 3곳 밖에 되지 않았다. 엔씨소프트 1억9800만원, 삼성전자 1억5100만원, 삼성물산 1억5000만원 순으로 억대 보수를 지급한 것으로 파악됐다.

사외이사를 세분화해 감사위원을 겸하지 않는 일반 사외이사 평균 보수가 억대를 기록한 곳은 삼성물산, 삼성전자, 현대자동차로 조사됐다.

삼성물산은 2명의 일반 사외이사에게 5억1700만원을 지급해 1인당 평균 보수가 2억5900만원으로 조사 대상 기업 중 최고를 기록했다.

이어 삼성전자 일반 사외이사는 평균 1억7600만원, 현대자동차는 1억3100만원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감사위원을 겸한 사외이사 그룹 중에서는 엔씨소프트가 1인당 2억7400만원으로 급여 수준이 가장 좋았고, 삼성전자(1억2600만원), KT(1억원) 순으로 보수가 높았다.


▲[도표=유니코써치 제공]


주요 업종별 사외이사 보수는 전자업종에 있는 사외이사 57명이 한 명당 평균 6811만원을 받아 높은 보수 그룹에 속했다.

이어 무역·유통(6642만원), 정보·통신(6413만원) 업종이 6000만원대 그룹에 포함됐다. 5000만원대 업종군에는 광물(5822만원), 항공·해운(5802만원), 금융(5748만원), 석유·화학(5534만원), 자동차(5129만원) 등이 포함됐다.

4000만원대는 제약(4490만원), 건설(4439만원), 기계(4382만원), 철강(4296만원) 업종이 속했다.

반면 패션은 3029만원으로 평균 보수가 가장 낮았다. 식품(3625만원), 고무·플라스틱(3717만원)도 3000만원대로 사외이사 보수가 상대적으로 타업종에 비해 낮았다.

조사 대상 업체 중 상근 감사 보수가 억대를 상회하는 곳은 36곳이나 됐다. 이 중에서도 상근 감사 연간 보수가 가장 높았던 곳은 석유화학 업체인 ‘대한유화’ 상근 감사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회사의 상근 감사 보수는 4억2600만 원으로 가장 높았다.


▲[도표=유니코써치 제공]

‘율촌화학’ 상근 감사도 3억3800만원으로 3억원대 보수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어 기업은행(2억8900만원), 동양(2억2600만원), 한샘(2억900만원), 대덕(2억700만원)도 상근 감사 평균 급여가 2억원을 상회했다.

심텍(1억8200만원), 유한양행(1억7600만원), 포스코강판(1억7200만원), 동방(1억6200만원) 등은 상근 감사 보수 상위 톱10에 포함됐다.

유니코써치 김혜양 대표이사는 “IMF 외환위기를 계기로 우리나라에 사외이사 제도가 본격 도입된 이후 사외이사의 보수 수준도 기업과 업종에 따라 큰 편차를 보이고 있다”며 “어떤 회사는 이사회 개최 횟수에 상관없이 연간 일정한 보수를 지급하는 곳이 있는가 하면 어떤 회사들은 이사회가 개최될 때마다 일종의 ‘거마비’ 형식으로 보수를 지급해 연간 보수액이 천만 원을 밑도는 곳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김 대표이사는 “기존에는 국내 기업들의 사외이사 보수는 전문성보다는 사외이사 개인의 이력과 활동 경력에 따라 결정되는 사례가 많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외부기관을 통해 전문성과 공정성을 확보하는 등 객관적인 절차를 거쳐 사외이사를 선임하는 사례가 증가하면서 보수도 이에 맞춰 책정하는 방향으로 변경되는 추세”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낙형
최낙형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하일지 작 연극 '진술', 19년 만의 귀환
[메가경제=김진오 기자] 2001년 초연 이후 강렬한 인상을 남겼던 하일지 작 연극 '진술'이 19년 만에 다시 무대에 오른다. 2006년 강신일 배우와 박광정 연출의 버전 이후, 이번에는 배우 김진근과 연출 김종희의 만남으로 새롭게 부활한다. 극단 씨어터판(Theatre Pan)이 제작하며, 오는 11월 26일부터 12월 7일 까지 대학로

2

‘대한민국 No.1 너머 글로벌 No.1 백화점으로’… 신세계 강남점 11월 벌써 3조, 내년 4조 보인다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이 11월 7일 올해 누적 매출(거래액) 3조원을 돌파했다고 9일 밝혔다. 2023년부터 3년 연속 3조원 돌파라는 기념비적인 성과와 함께, 달성 시점을 2년 전(12월 24일)보다 두 달, 지난해(11월 28일)보다 3주 앞당긴 최단 기록을 수립했다. 강남점은 상반기 내수경기 침체 속에서도 올해 11월 초까지 8

3

롯데하이마트, 쌀쌀한 날씨에 난방가전 행사 진행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최근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평균 최저기온이 10도 아래로 떨어지는 등 쌀쌀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난방 가전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롯데하이마트는 최근 2주간 (10월 24일부터 11월 6일까지) 판매한 난방가전(히터류, 요장판류)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약 70% 증가했다고 9일 밝혔다. 통상적으로 11월 중순부터 초겨울 날씨가 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