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개인정보 유출 이후 세무당국 기업 저승사자 공세'진땀'
[메가경제=정호 기자] 골프존이 세무당국 내 기업 저승사자로 불리는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의 특별세무조사를 다시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거듭되는 국세청 세무조사와 추징금에도 회계 관리 체계의 투명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13일 유통업계와 메가경제 취재에 따르면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이 지주회사인 골프존뉴딘홀딩스와 계열사를 대상으로 세무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상세한 조사 내용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기업의 탈세·탈루 혐의를 주로 들여다보는 조사4국의 성향상 이번 조사 내용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풀이된다.
![]() |
▲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이 골프존뉴딘홀딩스와 계열사를 대상으로 세무조사를 진행하고 있다.[사진=골프존] |
업계 일각에서는 골프존이 스크린 골프장 운영 과정에서 과도한 비용을 부과해 탈세를 해왔다고 내다봤다. 이유로는 골프존이 경영 승계를 위한 자금 마련하던 중 덜미를 잡힌 것으로 내다봤다.
골프존은 2013년, 2019년 각각 400억원, 43억원에 달하는 과징금을 부과받은 바 있다. 2013년에는 법인세 축소 신고·비용 과대 계상 등이 지적됐으며, 2019년에는 조사4국으로부터 탈세혐의가 발각돼 다시금 과징금을 부과 받았다.
골프존이 세무조사를 받은 뒤 불과 4년 만에 재조사를 받으며 내부회계 및 감사체계에 대한 투명성 확보 노력에서는 '뒷전'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골프존은 총수 일가가 과반수가 넘는 지분율을 통해 계열사들에 영향력을 행사할 때 유리한 구조다. 공시 기준 골프존은 지주회사 골프존뉴딘홀딩스가 지분율 22.01%, 창업자 김영찬 회장이 14.99% 지분율을 가지고 있다. 골프존뉴딘홀딩스는 김 회장이 10.65%, 오너2세 김원일 골프존뉴딘홀디스(현 원앤파트너스 대표) 대표가 43.21%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총수 일가가 막대한 지분율을 가진 이상 오너 일가를 독주를 막을 제어 장치도 부족한 '거버넌스 체계'에 약점도 두드러진다. 구성원이 사외이사 한 명으로 이뤄진 감사위원회의 역할도 유명무실하다는 지적 또한 불거진다.
세무당국 조사 외에도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일부 개인 정보가 유출된 사실 또한 확인돼 골프존의 방만한 경영 또한 구설수에 올랐다. 이 데이터는 고객 성명과 연락처 등을 담고 있다. 당시 골프존은 유출된 사실이 없다고 발뺌했으나 다크 웹에 고객 정보가 버젓이 공개되자 그제야 상황 수습에 나섰다.
결국 해당 사실이 확인되자 올해 5월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와 6월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각각 75억원, 1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은 바 있다. 결국 지배 구조의 허점과 방만 경영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가 가중되며 골프존 스스로 이미지를 훼손하는 모습이다.
메가경제는 골프존 측에 내부회계 및 감사체계에 대한 투명성 제고에 대해 질문했다. 이에 골프존 관계자는 "문의한 내용에 대해 확인드릴 내용이 없다. 세간에 떠도는 사실이 아닌 추측성 보도는 지양해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