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부터 잔여백신은 카카오·네이버앱 통해 당일예약 서비스로 신청
AZ 백신 3일 85.3만회분 이어 4일 상반기 최종 물량 공급...총 724만회분
마감을 앞둔 60세에서 74세 고령층의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률이 77%를 넘어섰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제2부본부장은 3일 오후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가진 정례 브리핑에서 이날 0시 기준으로 60세 이상 고령층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자가 총 736만여 명으로 예약률은 77.7%라고 밝혔다.
70세 이상 74세의 경우 예약률이 80.7%로 80%를 넘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은 이날까지 가능하다. 지자체 운영시간에 따라 변동이 가능하지만 콜센터 예약은 오후 6시까지이고, 온라인 예약은 자정까지 가능하다.
![]() |
▲ 국내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된 지 100일을 이틀 앞둔 3일 오전 서울 구로구 오류아트홀에 마련된 접종센터에서 의료진이 백신 접종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이날까지 예약을 못한 60세 이상 고령층은 코로나19 예방접종을 하고 있는 의료기관을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하여 잔량이 남아있는 경우에 한해 접종이 가능하다. 이후에는 전 국민 접종이 완료된 후가 돼야 접종기회를 다시 얻을 수 있다.
권 부본부장은 앞으로 잔여백신 접종 희망자의 예약 방식이 바뀐다고 밝혔다.
그동안은 의료기관에서 잔여백신이 발생하면 의료기관이 개별적으로 희망자를 접수받아 예비명단으로 접종대상자를 관리했다. 하지만 4일부터는 의료기관이 예방접종시스템에 당일 잔여 백신량을 등록해 사회관계망서비스(카카오, 네이버 앱)를 통해 공개하고 이를 희망자가 선택해 당일 예약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는 설명이다.
다만, 기존에 의료기관에서 이미 마련한 예비명단은 잔여백신 예약서비스 시범운영이 끝나는 9일까지 유예기간을 두고 사용이 가능하다.
권 부본부장은 “이는 잔여백신 발생과 접종 희망자의 연계를 효율적으로 운영해 의료기관과 접종 희망자의 편의를 높이기 위한 것”이라며 “이러한 앱을 활용한 잔여백신 당일 예약(또는 알림신청)은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의 경우 30세 이상이면 가능하다”고 밝혔다.
다만 “앱을 이용하기 어려운 60세 이상 연령층은 기존 방식과 같이 예외적으로 의료기관에 전화로 예비명단에 이름을 등록해 잔여백신 발생 시 접종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 |
▲ 국내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된 지 100일을 이틀 앞둔 3일 오전 서울 구로구 오류아트홀에 마련된 접종센터에서 의료진이 백신 접종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권 부본부장은 백신 공급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3일 개별 계약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85만3천 회분이 공급된 데 이어 4일에는 상반기 마지막 물량인 87만7천 회분이 공급될 예정이다.
당초 지난달 14일부터 이달 첫째 주까지 총 723만 회분이 공급될 계획이었으나 출하과정에서 1만 회분이 늘어나서 724만 회분이 최종 공급된다.
이렇게 되면 개별 계약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5~6월 도입 분이 차질 없이 완료된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