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코플랜트가 IT기기·배터리 등 글로벌 폐기물(E-waste) 처리 전문기업 테스(TES)를 인수했다.
SK에코플랜트는 21일 싱가포르 풀러턴 호텔에서 테스의 최대 주주인 나비스캐피탈파트너스(Navis Capital Partners)와 테스의 지분 100%(25만 2076주)를 약 10억 달러(약 1조2000억 원)에 인수하는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
▲ 박경일 SK에코플랜스 사장(오른쪽)과 로드니 뮤즈 나비스 캐피탈 파트너스 매니징 파트너 [사진=SK에코플랜트 제공] |
이날 체결식에는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과 로드니 뮤즈(Rodney Muse) 나비스캐피탈파트너스 매니징 파트너 등이 참석했다.
싱가포르에 본사가 있는 테스는 IT기기·가전·배터리·태양광부품 등 폐기물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국가에 거점을 두고 관련 사업에서 밸류체인을 확보한 기업으로 글로벌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갖췄다고 SK에코플랜트 측은 평가했다.
테스의 핵심 사업 영역은 ▲전기·전자 폐기물 리사이클링 ▲ITAD(IT Asset Disposition·IT자산처분서비스)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등으로 분류된다.
현재 북미, 유럽 등 총 21개국에서 43개의 처리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중 미국, 영국, 독일, 중국, 싱가포르 등 5개국이 주요 핵심 시장이다.
지난해 매출은 약 4억 6500만 싱가포르달러(약 4140억 원)를 기록했으며, 세계 유수의 IT기업들을 고객사로 확보했다.
![]() |
▲ 싱가포르에 있는 테스 본사 전경 [SK에코플랜트 제공] |
국제연합(UN)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9년 전 세계에서 발생한 E-waste 산업 규모는 약 5360만 톤으로 2030년에는 7470만 톤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인 얼라이드마켓리서치도 2020년 약 500억 달러(약 60조 원) 수준이던 E-waste 시장 규모가 2028년 약 1440억 달러(약 170조 원) 수준으로 3배 가까이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SK에코플랜트 관계자는 "이번 인수로 소각·매립 등 기존의 폐기물 영역을 넘어 폐기물 제로화를 실현하는 리사이클링 영역까지 사업을 확장했다는 데 의미가 크다"라고 강조했다.
앞서 SK에코플랜트는 지난 2020년 국내 종합 환경플랫폼 기업인 환경시설관리(옛 EMC홀딩스)를 약 1조 원에 인수하며 환경사업에 본격 진출했다. 지난해에는 총 6곳의 환경기업을 추가 인수해 국내 수처리 1위, 사업장폐기물 소각 1위, 의료폐기물 소각 2위, 폐기물 매립 3위 등 환경사업자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리사이클링 사업 확장을 통해 폐기물 제로와 탄소 제로가 현실화된 순환경제 모델인 제로시티(The Zero City)를 실현하는데 한 걸음 더 나아갔다”며 “테스가 확보한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글로벌 E-waste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