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호황에 업비트 점유율 한 달 새 57→78% 급등...시장 독식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12-10 16:04:46
  • -
  • +
  • 인쇄
트럼프발 수혜 집중...2위 빗썸은 41→19% 반토막
업계 전반 실적 개선 기대 속 독과점 우려도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가상자산 시장 호황이 한 달 남짓 이어지는 동안 국내 최대 거래소인 업비트의 시장 점유율이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친(親) 가상자산 성향으로 잘 알려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시장 기대감 속에 주요 수혜자로 떠올랐다.

 

10일 가상자산 정보 제공업체인 코인게코에 따르면 업비트의 가상자산 원화 시장 점유율은 미국 대선 직전인 지난달 5일 56.5%에서 이달 7일 78.2%로 21.7%포인트(p) 상승했다.

 

▲서울 강남 업비트 라운지 [사진=연합뉴스]

 

1비트코인 가격이 사상 처음 10만달러 돌파를 목전에 뒀던 지난 4일에는 업비트의 점유율이 80%를 넘어서기도 했다.

 

같은 기간 2위 거래소인 빗썸의 점유율은 41.2%에서 19.3%로 쪼그라들었다. 나머지 코인원, 코빗, 고팍스 등의 점유율은 0~1%대로 큰 변동이 없었다.

 

업비트 쏠림 현상의 원인은 복합적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 거래소 관계자는 "업비트의 유동성이 다른 거래소보다 풍부한 만큼 코인 매수·매도도 더 원활하게 이뤄진다"며 구조적으로 거래가 몰릴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거래소 간의 수수료 경쟁도 변수로 떠오른다. 빗썸이 지난 10월 초부터 개시한 무료 수수료 이벤트를 지난달 17일 종료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빗썸 이용자 일부가 업비트로 이동했을 거라는 관측이다.

 

이런 흐름이 지속될 경우 '독과점' 논란이 다시 불거질 여지도 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이강일 의원은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 코인 수나 예수금, 매출액, 수수료 등의 측면에서 업비트가 독과점 상태라며 이를 해소하는 방안을 촉구했다.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하나의 사업자의 시장 점유율이 50% 이상이면 독과점으로 간주해 규제한다. 이에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며 "시장 구조적 문제나 독과점 이슈는 가상자산위원회를 구성해 전반적으로 살펴보겠다"고 답변했다.

 

거래소들은 저마다 실적 개선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내년 1월 취임하는 트럼프 마국 대통령 당선인이 가상자산 산업 육성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당선인은 친비트코인 성향으로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다만 업계에서는 이 과정에서 거래소 간의 양극화가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가상자산 투자 심리가 위축됐던 지난해의 경우 시장 점유율이 낮은 거래소일수록 부진한 실적을 나타냈다.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8050억원으로 전년 대비 515.4% 증가했다. 반면 업계 2위 빗썸은 순이익이 243억원으로 74.5% 감소했다. 코인원(-67억원), 코빗(-142억원), 고팍스를 운영하는 스트리미(-514억원) 등은 나란히 순손실을 기록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현대해상, ‘아이마음 놀이터’ 건립·운영 MOU 체결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현대해상화재보험은 영등포구청, 사회적기업 코끼리공장, 사단법인 루트임팩트와 ‘어울숲 문화쉼터×아이마음 놀이터’ 건립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아이마음 놀이터’는 현대해상이 창립 70주년을 맞아 새롭게 추진하는 대표 사회공헌 프로젝트다. 지자체와 협력해 아동과 양육자를 위한 열린 커뮤니티 공간

2

NH농협은행, '365일 24시간 펀드투자 시스템' 도입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NH농협은행은 디지털 금융환경 변화에 발맞춰 고객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펀드 거래를 할 수 있도록 ‘365일 24시간 펀드투자 시스템’을 전면 도입했다고 24일 밝혔다.이번 시스템 도입으로 영업시간이나 요일에 관계없이 모바일과 인터넷뱅킹을 통해 펀드 신규와 추가입금 거래를 할 수 있게 됐다. 시간 제약없이 펀드 거래가 가능해지면

3

IBK기업은행, IBK창공 룩셈부르크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성료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유럽 진출을 희망하는 혁신·벤처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운영한 2025년 ’IBK창공 유럽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in 룩셈부르크’를 성료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지난 6월 주한 룩셈부르크 대사관과 체결한 ‘혁신창업기업의 유럽진출 지원’ 업무협약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혁신창업기업의 투자유치 기회 제공과 현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