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선천성 고인슐린증 치료제 '에페거글루카곤' 임상 2상 순항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05-26 16:37:43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한미약품이 개발 중인 선천성 고인슐린증 치료 혁신신약 ‘에페거글루카곤(HM15136)’이 글로벌 임상 2상 중간 분석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며 희귀질환 치료 분야에서 진전을 보이고 있다.


한미약품은 26일, 최근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유럽소아내분비학회(ESPE) 및 유럽내분비학회(ESE) 공동 학술대회에 참가해 에페거글루카곤의 임상 2상 중간 분석 결과를 구두 및 포스터 발표를 통해 공개했다고 밝혔다.
 

▲ 한미약품, 선천성 고인슐린증 치료제 '에페거글루카곤' 임상 2상 순항

에페거글루카곤은 세계 최초의 주 1회 투여 방식으로 개발 중인 선천성 고인슐린증(CHI) 치료 신약이다. 선천성 고인슐린증은 인슐린이 과도하게 분비돼 저혈당증을 유발하는 희귀질환으로, 인구 2만5000~5만명당 1명꼴로 발병한다. 매년 미국과 유럽에서 약 300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하지만, 현재 승인된 치료제는 1건뿐이며 효과가 제한적이고 심각한 부작용으로 인해 많은 환자가 췌장 절제술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미약품은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주 1회 제형의 혁신 신약으로 에페거글루카곤을 개발 중이다. 현재 글로벌 임상 2상은 5개국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최진호 교수가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이번 학회에서 발표된 코호트 1의 중간 결과에 따르면, 총 8명의 대상자에게 8주간 에페거글루카곤을 투여한 결과 안전성과 내약성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활력 징후, 신체 검사, 실험실 검사, 심전도 등 모든 안전성 항목에서 특이사항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치료 중단이나 중대한 부작용도 보고되지 않았다.

무엇보다 주당 저혈당(70mg/dL 미만) 및 심각한 저혈당(54mg/dL 미만) 발생 횟수와 시간이 각각 72.3%, 87.5% 감소하는 등 유의미한 치료 효과를 입증했다. 또한, 약물의 8주차 평균 반감기는 89시간으로 나타나 주 1회 투약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러한 결과는 에페거글루카곤이 향후 상용화될 경우,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보완하고 환자들에게 더 편리하면서도 지속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신약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임상 시험에 참여 중인 영국 그레이트 오몬드 스트리트 병원의 안토니아 다스타마니 박사는 “에페거글루카곤은 주 1회 투여만으로도 저혈당 발생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유망한 치료제”라며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에이피알, 글로벌 뷰티 마케터 신입 집중 채용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에이피알이 해외 시장 내 사세 확장에 발맞춰 국가별 마케팅 인재 채용에 돌입하며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박차를 가한다. 에이피알은 16일 자사 채용 홈페이지를 통해 ‘글로벌 뷰티 마케터’ 신입 채용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에이피알에 따르면 이번 채용은 K-뷰티의 인기를 타고 해외 시장에서 빠르게 매출과 인지도를 높이고 있는 ‘메디큐브

2

NS홈쇼핑, 제5기 시청자 위원회 출범
[메가경제=심영범 기자]NS홈쇼핑이 소비자 권익 보호와 방송 콘텐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5기 시청자위원회’를 공식 출범하고 지난 15일 시청자위원의 위촉식을 진행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날 본사에서 열린 출범식에서 10명의 신임 시청자위원이 위촉됐다. NS홈쇼핑의 시청자위원회는 단순히 법적 규정을 준수하기 위한 제도가 아니다. NS홈쇼핑은 급변하는 미디

3

넷마블, 페이트/그랜드 오더 ‘가을 축제 캠페인’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넷마블은 모바일 RPG ‘페이트/그랜드 오더’에 '2025 가을 축제 캠페인'을 오는 25일까지 실시한다고 16일 밝혔다. 넷마블은 오는 17일부터 20일까지 ‘특이점F 염상오염도시 후유키’ 제3절 1단계를 완료한 이용자에게 최초 접속 시 성정석 30개를 증정한다. 특별 로그인 보너스를 통해 성배, 전승 결정, 1천만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