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웰케어, 국립생물자원관과 건기식 신소재 발굴 맞손

김형규 / 기사승인 : 2023-03-24 16:44:55
  • -
  • +
  • 인쇄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건강기능식품 전문기업 CJ웰케어가 국립생물자원관과 손잡고 건강기능식품 신소재 발굴에 나선다.


CJ웰케어는 환경부 소속기관 국립생물자원관과 국내 생물소재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 CJ웰케어 박성선 대표(왼쪽)와 국립생물자원관 서민환 관장이 업무협약식에서 함께한 모습 [사진=CJ웰케어 제공]

 

양측은 협약을 통해 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 ▲생물소재 활용 연구 ▲소재 상용화 검증 및 사업 발굴 ▲ 생물소재 디지털 데이터 확보 등을 진행한다.

특히 이번 협약은 국립생물자원관이 확보한 ‘생물자원 유용성 분석 결과’를 민간 기업이 제공받는 사례라는 점이 특징이다. 생물자원 유용성 분석 결과는 국내 자생생물 1000여 종의 분석 결과에 딥러닝 기술을 적용해 유용성을 예측한 고유 연구자료다.

그동안 활용이 쉽지 않았던 국내 생물자원이 CJ웰케어의 독자적 기술력과 국립생물자원관의 분석 결과를 통해 차별화된 건강기능식품으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CJ웰케어 관계자는 “아직 상용화되지 않은 새로운 건강기능식품 소재를 찾아 더욱 세분화하고 있는 소비자 취향에 맞는 제품을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국립생물자원관 관계자는 “우리 생물자원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생물 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HK이노엔 ‘케이캡’, 세계 4위 인도 위식도역류질환 시장 공략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HK이노엔(HK inno.N)의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성분명 테고프라잔)’이 세계 인구 1위 국가 인도에 공식 출시됐다. 현지 영업과 마케팅은 글로벌 제약사 닥터레디(Dr. Reddy’s Laboratories)가 맡는다.케이캡은 인도에서 ‘PCAB(피캡) 50mg’이라는 제품명으로 지난 5월 미란성 및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

2

"서울대표도서관 원안 추진" 주민 요구 확산…동대문구 최대 현안으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서울대표도서관 건립 문제가 동대문구 지역사회 중요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14일 오후, 민선 8기 동대문구청장 선거에 출마했던 최동민 전 청와대 행정관은 지역 주민들과 함께 ‘전농동 691-3번지’ 서울대표도서관 예정 부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에 원안 추진을 강력히 촉구했다. 주민들로 구성된 ‘서울대표도서관 정상건립

3

한국·필리핀 합작 영화 ‘산토스를 찾아서’ 주연배우인 YGIG 매그의 ‘섬집아기’ 릴스 1000만 뷰 돌파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한국과 필리핀의 합작 영화 '산토스를 찾아서' 일부 장면이 담긴 인스타그램 릴스 영상이 공개된 지 단 3일 만에 조회수 1000만 뷰를 돌파하며 화제를 모았다. 영상 속에서는 여주인공인 필리핀 걸그룹 YGIG의 매그가 기타를 치며 한국 전통 자장가 '섬집아기'를 감미롭게 부르는 장면이 담겼다. 해당 영상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