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수리비용, 배터리 리스크 등 보험사 EV 전략 세워야
[메가경제=노규호 기자] 글로벌 전기자동차(EV) 시장 확대와 함께 전기차 전용 보험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고·수리·배터리 등 EV 리스크에 보험업계가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 |
▲전기자동차(EV) 시장 확대와 함께 전기차 전용 보험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고·수리·배터리 등 EV 리스크에 보험업계가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사진은 해당 기사 내용과 관계 없다. [사진= ChatGPT] |
9일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세계 주요국의 전기차 구매 지원 정책과 친환경 에너지 이용 확대 정책, 배터리 기술 발전 등에 힘입어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이 크게 증가했다. 2023년 전 세계 EV 승용차 판매 대수는1380만대로 2019년 210만대 대비 6배 이상 늘었다.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관련 리스크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EV의 평균 수리 비용은 내연기관차(ICEV)보다 20% 높고 평균 수리 기간 또한 ICEV보다 14% 긴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전기차 수리에 더 높은 기술력이 필요하고 배터리 가격이 높은 것이 주원인이라는 분석이다.
현재 EV에는 주로 리튬이온 배터리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로 인한 ▲배터리 손상 문제 ▲배터리 무게 문제 ▲화재 및 운송 중 리스크 ▲원재료 채굴 문제 등 다양한 리스크가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 정부는 전기차 충전 시설의 화재 감시 CCTV에 보조금을 주고, 과충전을 막을 수 있는 충전기에만 설치 예산을 지원하는 등 전기차 안전 강화 지침을 발표했다. 배터리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액침냉각 기술도 주목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EV는 정지 상태에서 빠르게 가속할 수 있지만, 이로 인해 운전자가 급격한 속도 변화를 충분히 인지하지 못해 충돌 사고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미국, 영국 등 주요 국가에서는 보험사들이 전기차 특화 상품을 출시하고, 보험 중개사 협회가 EV 전용 보험 서비스를 강화하는 등 EV 전용 보험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미국 손해보험회사 올스테이트(Allstate)는 EV 보험과 주택 보험을 함께 가입하면 보험료를 최대 25% 할인해주고, 영국 손해보험회사 엘브이이퀄(LV=)은 2022년부터 EV 보험, 차량 리스, 충전기 설치 등을 포함한 패키지 서비스인 ‘ElectriX’를 제공하고 있다.
영국 보험 중개사 협회는 보험사 노보인슈어런스(Novo Insurance)와 협력해 2024년 4월부터 EV 특화 자동차보험 판매를 시작했다.
강윤지 보험연구원 연구원은 "최근 전기차 판매 증가세가 둔화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각국 정부가 ICEV 판매 중단 계획을 발표하고 있어 장기적으로 EV 시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보험업계는 이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영국, 중국, 일본 등 각국 정부는 2035년부터 ICEV 판매를 금지하는 규제를 확정했거나 추진 중이며, 국내에서는 2020년에 국가기후환경회의가 2035년부터 ICEV 판매를 중단할 것을 정부에 제안한 바 있다.
강 연구원은 "새로운 보험 모델 및 서비스 혁신 추진, EV 전용 손해사정 기준 마련, EV 전용 수리 기술 및 전문가 육성 등 보험업계가 전기차 시장 확대에 맞춰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