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 美 당국 리콜 후속 조사...“추가적인 이슈 없을 것”

김형규 / 기사승인 : 2022-04-06 17:02:52
  • -
  • +
  • 인쇄
GM‧벤츠‧현대차 등 5개 사 리콜에 따른 조치
“일반적인 후속 조사 절차” 해명

LG에너지솔루션은 6일 미국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자사 배터리 탑재 리콜 차량에 대해 실시하는 조사에 대해 “일반적인 후속 조사 절차”라며 추가적인 이슈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지난 5일(현지시간)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가 장착된 자국 내 판매 차량 13만 8324대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 [LG에너지솔루션 CI]

 

앞서 GM, 메르세데스 벤츠, 현대자동차, 스텔란티스 그룹, 폭스바겐 등 5개 자동차 제조사는 2020년부터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결함으로 인한 화재 위험을 이유로 차량 리콜을 진행했다. NHTSA의 이번 조사는 이에 따른 후속 조치다.

NHTSA는 교통안전 연구를 수행하는 미국 정부 기관이다. 자국 내 차량을 포함한 교통수단 안전 문제 발견 시 리콜 명령을 내리는 권한을 갖고 있다.
 

▲ [미국도로교통안전국 로고]

 

LG에너지솔루션은 이에 대해 “이번 조사는 자동차 업체가 리콜을 실시할 경우 후속 조치로 해당 부품업체에 대해 다른 자동차 업체에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이 공급되는지 확인하는 일반적인 절차”라고 밝혔다.

특히 GM 볼트, 현대차 코나‧아이오닉 등 기존 주요 리콜에 대해 “NHTSA의 공식 절차가 이미 완료됐다”며 “차량 고객사와 합의도 마무리된 사안으로 추가적 이슈는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현대차는 지난 2020년 10월 2019년형과 2020년형 코나 전기차 리콜을 단행했다. 지난해에는 배터리 전기 단락 현상으로 인한 화재 위험으로 코나‧아이오닉 전기차 대상 2차 리콜을 실시했다.


GM은 같은 해 11월 배터리 제조 결함을 이유로 쉐보레 볼트 전기차 14만 대를 회수 조치했다. GM은 이 사태에 대해 지난해 10월 LG에너지솔루션으로부터 리콜 비용을 배상받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해당 비용 분담금이 1조 4000억 원이라고 밝힌 바 있다.

 

▲ GM 볼트 EV [연합뉴스]

 

LG에너지솔루션에 따르면 FCA 퍼시피카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모델 1만 7000대에 대한 원인 조사는 현재 진행 중이다.


또한 “폭스바겐 ID4 351대의 경우 배터리 모듈 연성회로기판의 단순 납땜 불량에 따른 리콜로 이미 기판 공급업체 공정이 개선된 사안”이라며 “벤츠의 경우 차량 대수는 1대로 용접 불량에 따른 리콜”이라고 설명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후속 조사에 대해 성실하게 협조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김영섭 KT 대표 "전 고객 대상 무료 유심 교체 보상 진행"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KT가 전체 가입자 대상 무단 소액결제 및 불법 소형 기지국(펨토셀) 접속 사고 보상을 위해 전체 가입자 대상으로 무료 유심 교체를 진행한다. 김영섭 KT 대표는 2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종합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전 고객 대상 유심을 교체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있다&qu

2

NS홈쇼핑, 제20회 서울국제식품산업전 참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NS홈쇼핑이 오는 11월 1일(토)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푸드위크코리아 (제20회 서울국제식품산업전)’에 참가해 협력사를 위한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고 29일 밝혔다. ‘서울국제식품산업전’은 농림축산식품부, 한국식품연구원, 한국농업기술진흥원, 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 서울시, 강남구 등이 후원하고 코엑스가 주최하는

3

김상현 롯데쇼핑 부회장 "디지털 전환은 고객 경험 혁신 도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김상현 롯데그룹 유통 총괄대표 부회장은 29일 “디지털 전환은 기술이 아니라 고객 경험을 새롭게 설계하는 과정”이라고 말했다.김 부회장은 29일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 ‘디지털 전환과 전자상거래 효율화’ 세션 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아시아 소비자들이 국경을 넘어 다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