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과의 동침' 선택한 대형마트들, 앞다퉈 '다이소' 모셔오기 급급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3-04 17:09:33
  • -
  • +
  • 인쇄
경제 악화 속, 가성비 매장 '다이소' 고객 발걸음 유입
프리미엄 아울렛까지 다이소 입점, 그로서리 '집중' 향상

[메가경제=정호 기자] 대형마트들이 앞다퉈 초저가 생활용품점 다이소 모셔오기에 바쁜 모습이다. 업계에서는 생활용품이라는 카테고리에 묶인 대형마트가 다이소와 동침을 선택한 데에 의문이 모인다.

 

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대형마트 내에서 '숍인숍' 형태로 운영되는 다이소가 아울렛과 스타필드 등 복합쇼핑몰까지 진출지를 넓히고 있다. 그 수만 종합해도 올해 전국 300개점 돌파를 앞둔 것으로 알려졌다.

 

▲ 서울시 한 다이소 매장.[사진=메가경제]

 

유통채널에 입점한 다이소의 수는 2020년 253개, 2021년 258개, 2022년 266개, 2023년 290개까지 늘어났다. 한해 평균 10개씩 늘어나는 셈이다. 입점 매장의 규모 또한 이마트 의왕점은 830평·홈플러스 상봉점 790평·롯데마트 780평 규모로 커지는 상황이다. 

 

대형마트들의 '다이소 모셔오기'가 활발해진 까닭으로는 대형마트들의 그로서리(식료품) 전략이 강화된 것이 꼽힌다. 실제로 롯데마트는 전체 매장 90%를 먹거리로 마련한 '그랑그로서리'를 선보였다. 홈플러스는 메가푸드마켓이라는 신선식품 위주의 매장 리뉴얼에 힘쓰고 있다.

 

먹거리 위주의 리뉴얼과 함께 다이소는 고객 유입 효과가 높은 '앵커 테넌트' 역할 또한 겸한다. 다이소 방문객이 이용 시간을 확보하고 대형마트 이용률에도 영향을 끼치는 구조인 셈이다. 

 

풀어 설명하면 생활용품을 구매한 고객이 먹거리를 구매하러 대형마트를 이용하는 형태로 발전하는 셈이다. 이마트 목동점은 지난 1월 24일 리뉴얼을 거치며 다이소 매장 크기 또한 넓혔다. 

 

이를 계기로 이마트 목동점은 다이소를 비롯해 임대 매장 매출이 123%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효과에 힘입어 대형마트 3사 기준 롯데마트 111개 점포 중 87개·홈플러스 126개 점포 중 54개·이마트 155개 중 27개의 매장이 마련된 것으로 집계된다.

 

다이소는 앞으로도 꾸준히 대형마트 입점에 힘을 쏟을 것으로 전망된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다이소는 꾸준히 대형마트 입점을 넓혀 왔으며 이에 힘입어 매장이 어느덧 300개 돌파를 앞두고 있다"며 "이는 고물가 시대에서 다이소의 초저가 정책에 기반해 대형마트로 발길을 이어지게 하는 주요 배경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K2 Safety, 해비타트와 함께한 4번째 해이홈 봉사… ‘안전의 가치’ 확산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산업안전브랜드 K2 Safety(케이투세이프티)가 ‘Team K2 Safety’의 네 번째 봉사활동을 진행하며 값진 땀방울을 통해 안전의 가치를 사회에 확산시켰다. K2 Safety는 자사의 봉사활동 캠페인 ‘Team K2 Safety’ 일환으로 지난 17일 천안시 ‘해비타트 빌더스 스쿨’에서 제4회 해이홈(HAEY HOME) 봉사

2

미래에셋생명, '글로벌 MVP 60 펀드' 누적 수익률 114.1% 기록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미래에셋생명의 대표 변액펀드 ‘글로벌 MVP 60’이 누적 수익률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래에셋생명 글로벌 MVP 60 펀드는 지난 15일 생명보헙협회 공시실 기준 114.1%를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변액보험은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형 보험 상품으로, 시장 흐름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지는 구조다. 미래에셋생명은 자산 대부분을 해외에

3

NS홈쇼핑, 임직원 참여형 사회공헌 프로그램 ‘NS Go!’ 첫 활동
[메가경제=심영범 기자]NS홈쇼핑이 사회공헌 프로그램 ‘NS Go!’의 첫 활동으로 농번기 일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가를 지원하기 위해 ‘보태Go!’ 봉사활동을 펼쳤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활동은 지난 22일 인천 강화군 화도면 일대 강화남부농협 관내 농가에서 진행됐으며, NS홈쇼핑 임직원을 비롯해 농협경제지주 임직원, 시민 환경단체 및 대학생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