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는 최근 경남 창원시 LG스마트파크에서 협력사 25곳 대표와 왕철민 구매‧SCM경영센터장(전무)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협력사의 ‘생산성 개선 우수사례’를 공유했다고 28일 밝혔다.
중국‧인도‧동남아 등의 해외 생산법인 13개 법인장도 화상으로 행사에 참여했다.
![]() |
▲ 경남 창원시 LG스마트파크에서 협력사 25곳 대표와 왕철민 전무(맨 앞줄 오른쪽에서 여섯 번째)가 함께한 모습. [사진=LG전자 제공] |
LG전자는 지난 2013년부터 협력사와 ‘생산성 개선 우수사례’ 공유회를 개최해 왔다. 생산라인 자동화와 정보화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제조경쟁력을 높인 협력사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다른 협력사들도 제조 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날 우수사례로 소개된 ‘세영’은 식기세척기용 인쇄회로기판(PCB)에 수작업으로 부품을 조립했던 공정을 자동화해 10명이 하던 작업을 한 명이 가능하게 했다. 부품을 자동으로 공급해주는 장비(Feeder)를 개발하고 다관절 로봇을 도입해 조립을 자동화했다.
‘상일코스템’은 냉장고 생산라인에 원을 그리며 돌아가는 턴테이블 방식을 적용했다. 기존 네 명이 작업하던 조립 공정을 혼자 할 수 있도록 자동화했다. 턴테이블 위에 두 개의 부품을 올려놓고 테이블을 돌리면 로봇이 부품을 조립한 후 다음 공정까지 자동으로 이동시킨다.
두 협력사는 공정을 자동화해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라 부족했던 인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됐다는 게 LG전자의 설명이다. 특히 자동화가 어려운 공정 등 인력을 적재적소에 배치함으로써 생산성을 더욱 높이는 결과를 냈다.
LG전자는 지난 2018년부터 협력사가 생산라인을 자동화하고 인공지능‧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특히 생산기술 전문가를 협력사에 파견해 가공‧조립‧포장‧물류 등 생산 전 과정을 세밀하게 점검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공정부터 자동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LG전자는 올해 협력사 80여 곳을 대상으로 생산 공정 자동화‧정보화를 추진하고 있다. 해외에 동반 진출한 협력사도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왕철민 LG전자 구매‧SCM경영센터장은 “협력사의 생산성 개선 우수사례를 지속 공유함으로써 협력사가 업계 최고 수준의 제조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