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6G 주도권 선점에 박차…실외 320m 무선 데이터 전송 성공

김형규 / 기사승인 : 2022-09-14 18:03:43
  • -
  • +
  • 인쇄
23일 ‘6G 그랜드 서밋’에서 성과 발표 예정

LG전자가 6G 테라헤르츠(THz) 대역에서 실외 320m 무선 데이터 송수신에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LG전자는 최근 독일 베를린의 프라운호퍼 하인리히-헤르츠 연구소에서 6G 테라헤르츠 대역(155~175GHz)을 활용해 실외에서 통신 신호를 320m 거리까지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
 

▲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프라운호퍼 하인리히-헤르츠 연구소에서 김병훈 LG전자 부사장(사진 우측끝)이 현지 관계자와 6G 기술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사진=LG전자 제공]

 

이는 지난해 8월 실외 100m 무선 송수신 성공에 이어, 약 1년 만에 이룬 쾌거다. 당시 LG전자와 프라운호퍼 연구소는 6G 테라헤르츠 대역에서 전력 증폭기를 공동으로 개발해 출력 신호를 세계 최고 수준인 최대 15데시벨 밀리와트(dBm)까지 끌어올린 바 있다.

일반 도심에서 사용하는 기지국의 셀 커버 범위는 통상 250m 수준이다. 실내와 실외 도심 지역 전반에서 6G 테라헤르츠 통신을 상용화하는데 한 발 더 다가선 셈이라는 게 이 회사의 설명이다.

6G 테라헤르츠와 같은 초광대역은 주파수 도달거리가 짧고 안테나 송수신 과정에서 전력 손실이 심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끌어올리는 ‘전력 증폭기’와 수신 신호 품질을 높이는 ‘수신기 소자’ 개발이 가장 큰 걸림돌로 꼽혀왔다.

LG전자와 프라운호퍼 연구소는 이번 시연을 위해 전체 출력 20dBm 이상의 ‘다채널 전력 증폭기’,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하는 ‘저잡음 수신 신호 증폭기’ 등 송수신 핵심 소자의 신규 개발에 성공했다. 또 모듈의 집적도를 높여 향후 상용화를 염두했다.

LG전자는 오는 23일 서울 마곡동 LG사이언스파크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과 공동으로 ‘6G 그랜드 서밋’ 행사를 열고 이번 테라헤르츠 기술 개발 성과를 포함한 그간의 6G 분야 개발 성과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6G 이동통신은 오는 2025년경 표준화 논의를 시작으로, 2029년에는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5G 대비 한층 더 빠른 무선 전송속도와 저지연‧고신뢰의 통신 지원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김병훈 LG전자 CTO(최고기술책임자·부사장)는 “이번 실외 320m 시연 성공으로 초당 1테라비트 전송을 실현하는 6G 기술 목표를 더욱 현실화했다”며 “R&D 역량을 갖춘 연구기관, 업체들과의 협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바버, 리바이스와 손잡고 FW 글로벌 협업 컬렉션 공개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영국 헤리티지 브랜드 바버(Barbour)가 미국 의류 브랜드 리바이스(Levi’s)와 협업한 FW 글로벌 컬렉션을 30일 공개했다. 이번 협업은 두 브랜드의 공통된 뿌리인 워크웨어와 헤리티지를 기반으로, 실용성과 감성을 결합한 새로운 컬렉션을 선보이는 것이 특징이다.이번 컬렉션에서는 바버의 시그니처 왁스 코튼과 리바이스의 데님 소

2

케어젠 ‘마이오키’, 레바논서 의사 처방용 건강기능식품 등록…MENA 시장 진출 가속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펩타이드 전문 바이오기업 케어젠(대표 정용지)은 자사의 근육 건강 펩타이드 ‘마이오키(MyoKi)’가 레바논 보건 당국으로부터 의사 처방(Prescription) 가능한 건강기능식품으로 등록됐다고 30일 밝혔다.이번 등록은 마이오키의 효과와 안전성이 공식적으로 인정된 결과로, 케어젠의 근육 건강 관리 솔루션이 글로벌 시장에서 의료적

3

JW생활건강, 뉴질랜드 신발 탈취 브랜드 ‘그랜즈레미디’와 국내 사업 강화 논의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JW생활건강은 뉴질랜드 신발 탈취제 브랜드 ‘그랜즈레미디(Gran’s Remedy)’ 개발사 엔데버헬스컨슈머리미티드(Endeavour Health Consumer Limited)와 국내 사업 및 중장기 파트너십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고 30일 밝혔다.이를 위해 벤저민 컬(Benjamin Cull) 마케팅 총괄과 켈리 뒤 프리즈(Kel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