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브레인, AI 신약 개발사 ‘갤럭스’에 50억 투자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12-16 17:54:35
  • -
  • +
  • 인쇄

카카오브레인(대표 김일두)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 설계 플랫폼 기업 갤럭스에 50억 원을 투자하고, 공동 연구를 위한 파트너십을 구축했다고 16일 밝혔다.

갤럭스는 올해 상반기 인터베스트의 시드 투자 유치에 이어 카카오브레인의 전략적 투자를 이끌어냈다. 

 

▲ 카카오브레인, 갤럭스에 50억 원 투자


카카오브레인에 따르면, 현재 글로벌 바이오 산업에서는 나스닥 상장사 슈뢰딩거를 비롯해 올해 구글이 AI 신약개발 자회사 아이소모픽 랩스(Isomorphic Labs)를, 아마존이 제약사들과 합작해 아이온랩스(AION Labs)를 설립하는 등 글로벌 테크 기업간 AI 신약 개발 경쟁이 시작된 상황이다.

신약 개발 과정은 후보 물질 개발에만 평균 5년, 6억 7000만 달러가 소요되지만, 임상시험까지의 신약 개발 성공률은 10% 미만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신약 개발에 AI를 활용하면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단축해 신약을 더 저렴하고 빠르게 공급 가능할 수 있을 전망이다.

갤럭스는 서울대에서 지난 10년간 국제 단백질 구조예측 대회나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대회 등에서 1~3위를 차지한 단백질 모델링 기술을 활용한다.

석차옥 갤럭스 대표는 서울대 교수 출신으로 구글 딥마인드의 알파폴드가 단기간 내 단백질 구조 예측에서 성과를 내는 것을 보고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에 나서기 위해 회사를 설립했다. 특정 신약에만 적용 가능한 것이 아닌 다양한 질병을 표적으로 하는 많은 종류의 신약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신약 설계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카카오브레인은 갤럭스가 보유한 신약 설계 기술을 자사의 초거대 AI 모델과 융합해 AI 기반 신약 설계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신약 후보물질 공동 개발, 기존 화학 기반 실험 전자화 등을 진행 예정이다.

석차옥 갤럭스 대표는 “자사가 보유한 신약 설계 도메인 기술을 인공지능과 융합해 효과적인 신약설계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한다”며 “카카오브레인의 전략적 투자와 공동연구로 인공지능과 기초과학을 융합해 새로운 신약개발 시대가 열리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는 “자사 AI 라지 스케일 역량을 신약 개발 분야에 확대 적용해 갤럭스가 AI 기반 신약 설계 분야에서 글로벌 톱 티어 기업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성수1지구 조합 “재입찰 한다”
[메가경제=이준 기자] 하반기 서울 강북권 최대 재개발 사업인 성수전략정비구역1지구(이하 ‘성수1지구’) 조합이 재입찰을 실시한다고 이달 6일 밝혔다. 성수1지구 조합은 이달 4일 대의원 회의에서 ‘기존 입찰지침 유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승적으로 입찰지침을 변경, 다수의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토록 할 방침이다. 조합의 재입찰

2

KT&G 상상마당, 전자음악 주제 전시 ‘전율’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T&G는 상상마당 춘천 아트센터에서 오는 10월 19일까지 전자음악 장르의 전시회 ‘전율’을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KT&G 상상마당 춘천은 관객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음악을 주제로 한 전시회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사운드 아티스트 4인의 작품이 공개됐으며, 전자음악 특유의

3

CJ CGV, 대학생 대외활동 ‘Campus Crew' 3기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 CGV는 대학생 대상 대외활동 프로그램인 ‘CGV Campus Crew(이하 ‘캠크루’)’ 3기 활동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5일 밝혔다. 캠크루는 CGV에 관심 있는 대학생을 선발해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2023년 1기를 시작으로 올해로 3기째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총 19명이 선발돼 한 달간 활동에 나섰다. 특히 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