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신저 시장, 카카오톡 독점체제로

조승연 / 기사승인 : 2015-12-22 16:49:11
  • -
  • +
  • 인쇄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국내 모바일 메신저 시장이 사실상 '카카오톡'의 독점 체제로 굳어진다.


22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등 통신서비스업체들이 카카오톡에 대항하기 위해 내놓은 모바일 메신저 '조인(joyn)'이 내년 2월 서비스를 종료한다.


삼성전자의 메신저서비스 '챗온'도 지난 2월 이미 서비스를 접었기 때문에 카카오톡은 국내 모바일시장에서 명실상부한 독점 사업자로 자리잡게 됐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이달 1일부터 조인 신규 가입을 중단했고, KT는 오는 24일부터 가입자를 받지 않는다. 조인의 정식 서비스 종료 시점은 내년 2월 12일이다. 기존 조인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는 이날 일괄 해지된다.


조인은 지난 2012년 12월 이동통신 3사가 카카오톡 견제를 위해 내놓은 모바일 메신저다.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가 공식 인증한 표준 규격의 모바일 메신저로도 화제를 모았다.


하지만 조인은 시장에 뒤늦게 진입하는 바람에 카카오톡의 아성을 넘지 못했다. 카카오톡은 2010년부터 서비스를 선보이며 일찌감치 모바일 메신저 시장을 선점했다.


현재 카카오톡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96% 안팎에 이른다. 이에 따라 카카오톡의 독점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국정감사에서도 카카오와 네이버의 시장지배 문제가 뜨거운 이슈로 부상했다.


카카오톡은 최근 들어 엄청난 사용자를 기반으로 O2O(Online to Offline·온오프라인 연계)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현재 카카오는 카카오택시에 이어 대리운전업에도 진출할 방침이다. 카카오가 차기 사업으로 퀵서비스, 용역 중개업을 검토한다는 설도 나오고 있다.


지난 10월 6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정재찬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은 "카카오는 점유율로 보면 시장지배적 사업자로 추정된다"며 "불공정 행위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은 만큼 지속적으로 감시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조승연
조승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김건희 특검, 한문혁 검사 파견 해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수사를 이끈 한문혁 부장검사가 김 여사의 계좌 관리인으로 알려진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와 만난 정황이 드러나 업무에서 배제됐다. 김건희 특검팀은 26일 공지를 통해 “파견근무 중이던 한문혁 부장검사가 수사를 계속하기 어렵다고 판단된 사실관계가 확인됐다”며 “지난 23일 자로 검찰에 파

2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 11월 상시교육 실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NH농협은행은 전국 14개 청소년금융교육센터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11월 상시교육을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 ‘변화하는 돈의 가치’라는 주제로 학생들은 수요·공급 변화에 따른 물건 가격의 변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소비자물가지수 등에 대해 학습할 예정이다.본 교육은 총 14개 지역[서울(본부), 서울(강남), 강원, 경기,

3

LG전자, ‘Future 2030 서밋’ 개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LG전자는 6G, AI, 양자, 우주산업 등 미래 핵심기술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기술 주도권 선점을 위한 논의에 나섰다. LG전자는 지난 24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LG전자 서초R&D캠퍼스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과 함께 ‘Future 2030 서밋’을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