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이슈] 현금보다 체크카드…부가서비스 증가가 원인

이필원 / 기사승인 : 2019-03-07 17:59:17
  • -
  • +
  • 인쇄

[메가경제 이필원 기자] 지난해 체크카드 하루 평균 이용 결제액이 처음으로 5000억원을 돌파했다. 소득공제 등 세제혜택과 각종 부가서비스가 강화되며 이용 건수와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7일 한국은행은 ‘2018년 지급결제동향’을 발표했다. 지난해 현금 이외의 지급수단을 통한 결제금액은 일평균 80조6000억원으로 전년(76조8000억원) 대비 4.9% 증가했다. 지급카드(+6.2%) 및 소액결제망의 계좌이체(+8.9%)를 통한 결제금액의 증가세가 이어진 반면 어음?수표(-5.6%) 결제율은 감소했다. 지급카드는 체크카드를 중심으로 증가했다.


지급카드는 신용카드와 겸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은행의 자동출납기(ATM)나 판매점단말기(POS)를 이용할 경우 지급카드가 사용된다.


'2018년 지급결제동향' 보고서 [출처 = 한국은행]
'2018년 지급결제동향' 보고서. [출처 = 한국은행]

체크카드는 이용 실적이 일평균 5000억원으로 7.6% 늘었다. 연말정산시 소득공제율(30%)이 신용카드(15%)의 2배인데다 연회비 무료에 신용카드와 유사한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이용실적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체크카드의 약진에도 불구하고 결제 실적에서 우위를 점한 것은 신용카드(78.7%)다. 지난해 신용카드 하루 평균 이용실적은 1조8620억원으로 전년보다 5.8% 늘어났다. 개인의 이용실적은 8.6% 늘었지만 법인은 2.9% 줄어들었다.


지난해 하루 평균 결제건수는 신용카드 3575만건, 체크카드 2232만건으로 전년보다 각각 10.5%와 10.9% 증가했다.


지급카드의 일평균 결제 건수는 증가했지만, 건당 결제금액은 줄어들었다. 최근 대부분의 업장에서 카드 소액결제가 가능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건당 결제금액은 신용카드 4만3089원, 체크카드 2만2471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1.9%와 3.0% 감소했다.


카드사용 비율이 증가하면서 현금 사용률은 줄고 있는 추세다. 실제로 스타벅스커피 코리아는 지난해 4월 업계 최초로 현금 없는 매장을 운영했다. 현금 결제 비율이 한 자릿수로 떨어지고, 카드와 모바일 결제 비율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스타벅스 코리아 측에 따르면 국내 스타벅스 매장에서 현금결제 비중은 2010년 31%에서 2017년 7%까지 줄었다. 신용카드 등 다른 결제수단의 비중은 지난해 80%까지 증가했다. 현재 스타벅스는 총 403곳의 현금없는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필원
이필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2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3

AI 반도체 수요 폭발...8월 ICT 수출, 역대 최대치 달성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지난 8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수출이 반도체 판매 호조에 힘입어 같은 달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ICT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8월 ICT 수출액은 228억7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1.1% 증가했다. 특히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 수요 확대가 반도체 수출 증가를 이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