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코리아, 개소세 종료 앞두고 신차 계약 40% 증가…구매 혜택 대폭 확대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06-13 08:07:38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르노코리아가 정부의 개별소비세(개소세) 인하 혜택 종료를 앞두고 전 차종에 걸쳐 구매 혜택을 확대한 가운데, 6월 신차 계약 건수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르노코리아(대표 스테판 드블레즈)는 12일 기준 이달 신차 계약 대수가 전월 대비 약 40% 증가했으며, 전국 전시장 방문 고객의 구매율도 같은 기간 35% 늘었다고 밝혔다. 이는 개소세 인하 종료 전 마지막 혜택을 받기 위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 르노코리아, 개소세 종료 앞두고 신차 계약 40% 증가

르노코리아는 6월 한 달간 자사 주요 모델을 대상으로 옵션, 액세서리, 연장보증 혜택 또는 엔진오일 교환 쿠폰을 제공하고 있다. 그랑 콜레오스 구매 고객에게는 60만 원 상당, 아르카나·SM6·QM6 구매 고객에게는 50만 원 상당의 혜택 또는 엔진오일 3회 무상 교환 쿠폰이 제공된다. 다만 마스터 모델은 이번 혜택에서 제외된다.

이와 함께, 그랑 콜레오스 6만 대 계약 돌파를 기념한 특별 이벤트 ‘Wider Experience’도 진행 중이다. 6월 말까지 르노코리아 전국 전시장에서 차량 시승에 참여한 고객 중 추첨을 통해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 1박 숙박권(10명) ▲호텔 바우처 20만 원권(20명) 등을 증정하며, 그랑 콜레오스를 계약한 고객 중 1명을 선정해 ‘2025 파리 디자인 위크’ 참관을 위한 프랑스 왕복 항공권(2매)을 제공할 예정이다.

금융 혜택도 강화됐다. 그랑 콜레오스 구매 시 할부 원금 2,500만 원 기준, 3.3%의 낮은 금리로 최대 36개월까지 정액불 할부를 이용할 수 있다. 생산월에 따라 최대 100만 원의 추가 혜택이 주어지며, 노후차 보유 고객에게는 40만 원의 추가 지원이 제공된다. 단, 일부 트림(테크노 등)은 혜택 적용에서 제외된다.

모델별 최대 구매 혜택은 ▲아르카나 210만 원 ▲QM6 310만 원 ▲SM6 490만 원 수준이며, 여기에 재구매 고객에게는 1회당 20만 원의 추가 지원도 제공된다.

르노코리아 세일즈&네트워크를 총괄하는 황재섭 전무는 “6월 개소세 혜택 종료를 앞두고 전시장을 찾는 고객이 크게 늘며 영업 현장도 활기를 띠고 있다”며 “풍성한 혜택을 통해 더 많은 고객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생산과 판매 전 부문에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의 개별소비세 인하 혜택은 6월을 끝으로 종료될 예정이다. 업계는 혜택 종료 이전 막바지 수요가 몰리며 완성차 업체들의 판매 실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두산건설, 강화도에 ‘두산위브 센트럴파크 강화’ 분양 개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국내 주택 시장은 최근 4년간 경기 침체와 공사비 상승, 미분양 증가, PF 대출 경색 등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위축된 흐름을 보였다. 이에 따라 건설사와 시행사들이 추진해 온 사업 대부분이 지연되거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가운데 두산건설은 인천 강화군 선원면창리에 신규 아파트 단지 ‘두산위브 센트럴파크 강화’를 선보이며 분양 시

2

디저트39, 제철 공주 밤으로 완성한 라떼 2종 출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디저트39가 가을을 맞아 제철을 맞은 공주 밤을 활용한 음료 2종을 출시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신제품은 밤 특유의 깊고 고소한 맛을 극대화해, 가을의 풍미를 온전히 느낄 수 있도록 기획됐다. 먼저 ‘공주밤라떼’는 잘 익은 제철 공주 밤을 사용해, 밤 본연의 달콤함과 깊은 고소함을 그대로 담아낸 라떼다.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3

철도공단, 경부고속선 동대구~부산 취약개소 ‘영상감시설비 개량 완료’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국가철도공단 영남본부는 경부고속철도 2단계 동대구~부산 구간 선로변 취약개소의 영상감시설비 개량을 완료했다고 지난 8일 밝혔다. 취약개소는 터널 시·종점, 울타리 출입문 등 민간인의 출입에 취약해 철도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감시 및 관리가 필요한 구역을 말한다. 이번 사업을 통해 기존 영상감시설비를 AI 기반의 객체인식시스템과 연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