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홍철, “피가 철철 나고 안 움직여져...‘이렇게 가는구나’ 싶었다” 교통사고 후일담 털어놔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3-03-17 09:34:57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방송인 노홍철이 오토바이 사고를 언급하며 배움의 자세를 보이는가 하면, ‘돌+I’ 텐션을 발동시켜 ‘극과 극’ 간접 경험을 선사한다.

 

▲ '난생처음 우리끼리'를 통해 베트남 여행에 나선 노홍철. [사진=MBN 제공]

오는 19일(일) 밤 9시 30분 첫 방송하는 MBN 신규 예능 ‘난생처음 우리끼리’(연출 윤상진)에서는 베트남 여행 중 초콜릿 마사지와 호핑 투어를 통해 ‘유토피아’를 맛본 노홍철-KCM-이국주와 제주도 해녀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이날 노홍철은 “나트랑에서 머드가 나온다더라. 우리는 한 탕 안에서 함께 목욕할 것”이라며 KCM-할망 해녀 3인방과 머드탕으로 향한다. 이들은 머드탕에서 온 몸이 녹아내리는 천국을 경험하며, “이어도 사나~”를 떼창한다. 급기야 노홍철은 “여기가 바로 유토피아”라며 행복해한다.

그런가 하면, 노홍철은 앞서 베트남에서 당했던 오토바이 대형 사고를 언급, 모두를 철렁하게 만든다. 그는 “여기저기 부딪혀서 피가 철철 나니까 몸이 안 움직여졌다. ‘이렇게 가는 구나’ 싶었다”고 당시를 회상한다. 이에 한 해녀는 “나도 교통사고로 병원에 9개월 있었다”며 속 깊은 이야기를 꺼내는데, 노홍철은 “이분들에 비하면 우리가 겪은 것들은 아무것도 아니다. 가르치려고 하시는 건 아닌데 뭔가를 자꾸 배우고 느낀다”며 고마움을 전한다.

잠시 후, 머드탕 체험을 마친 노홍철-KCM과 해녀 3인방은 ‘초콜릿 마사지’를 받는다. 그러던 중 노홍철은 정신이 혼미한 상태로 “Can I eat?”이라고 물어봐 현장을 초토화 시킨다. 또한 바닷물 폭포 아래에 선 뒤에는 “너무 행복해~”라며 바지까지 들고 물을 쏟아 넣어 모두를 경악케 한다.

숙소에 돌아온 이들은 잠깐의 휴식을 취한 뒤, 곧장 배에서 즐기는 ‘호핑 투어’에 나선다. 이국주는 배에 타자마자 음악에 맞춰 ‘흔들 춤’을 작렬하더니, “배가 흔들리는데?”라고 너스레를 떤다. 이윽고 모두가 기차 대열로 서서 무아지경 댄스에 돌입하자, 배는 클럽으로 대변신한다. 어디서도 ‘텐션’으로는 당해낼 자 없는 ‘돌+I’ 노홍철과 ‘파워 E’ 이국주가 과연 어떤 ‘흥 여행’을 펼쳐갈지 궁금증이 치솟는다.

노홍철-KCM-이국주가 낯선 일반인 출연자들과 낯선 곳으로 여행을 떠나, ‘찐친 스토리’를 펼쳐나가며 공감과 웃음, 유쾌함과 눈물을 선사할 MBN ‘난생처음 우리끼리’는 오는 19일(일) 밤 9시 30분 첫 회를 방송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이디야커피,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첫 파트너십 체결
[메가경제=정호 기자] 이디야커피가 올가을 다양한 스포츠 구단과 스폰서십을 통해 스포츠 마케팅을 강화한다. 이디야커피는 오는 2025-2026시즌을 맞아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남자 농구단과 마케팅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협업은 스포츠의 긍정적 가치를 극대화하고 지역 사회와의 정서적 연결을 강화해 고객들에게 브랜드 친밀도를 높이기 위해

2

금호타이어-경기북부경찰청, 교통질서 캠페인 실시
[메가경제=정호 기자] 금호타이어가 경기북부경찰청과 함께 교통사고 예방과 안전한 교통문화 조성을 목표로 ‘교통질서 캠페인’에 나선다고 2일 밝혔다. 금호타이어는 극장 비상대피도 및 골프존 비상대피도 안내 광고에 등장하는 캐릭터 ‘또로·로로’와 경찰청 캐릭터 ‘포돌이·포순이’가 함께 도로 현장에서 안전한 교통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활동하는 영상을 제작하였다.

3

트라이포럼, '1기 트럼프 책사' 오브라이언과의 특별대담… APEC 정상회담 직전 한미관계 긴급 진단할 듯
[메가경제=정호 기자] 10월 31일 경주에서 개최될 APEC 정상회의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한국과 미국의 관세협상과 조지아주 사태 등 한미관계과 연관된 여러 이슈들을 짚어보는 특별대담이 열린다. 2일 트라이포럼에 따르면 ‘한·미관계 긴급 진단과 향후 과제’를 주제로 로버트 오브라이언 전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