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생명, 초고령화시대 맞춰 간병·치매 보장 신상품 3종 출시

송현섭 / 기사승인 : 2024-04-09 09:35:06
  • -
  • +
  • 인쇄
밸류플러스 보장보험·The H 간병보험·건강플러스 종신보험 등

[메가경제=송현섭 기자] 한화생명은 초고령화시대 고객 니즈에 주목해 간병과 치매를 중점 보장하는 ‘밸류플러스 보장보험’과 ‘The H 간병보험’, ‘건강플러스 종신보험’ 등 신상품 3종을 출시했다고 9일 밝혔다.


가입 나이는 밸류플러스 보장보험과 The H 간병보험이 15세부터 80세까지이며 건강플러스 종신보험의 경우 15세에서 70세까지다. 한화생명은 고객의 건강상태에 따라 가입할 수 있도록 일반형과 간편형으로 나눠 기존 병력이 있는 고객이라도 손쉽게 가입하도록 문턱을 낮췄다.
 

▲한화생명이 초고령화시대 고객 니즈에 주목해 간병과 치매를 중점 보장하는 ‘밸류플러스 보장보험’과 ‘The H 간병보험’, ‘건강플러스 종신보험’ 등 신상품 3종을 출시했다. [사진=한화생명]

 

우선 한화생명 밸류플러스 보장보험은 사망보장에 장기요양 패키지를 더해 설계한 상품이다. 주계약은 보험료 변동 없이 비갱신형으로 100세까지 사망 보장을 받으며 가입 5년 뒤부터 사망보험금이 증액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 장기요양상태에 대응해 진단자금·간병자금, 재가 및 시설급여 서비스를 받는 특약을 부가할 수 있다. 가족을 위한 상속자금은 물론 거동이 불편할 때를 대비한 장기요양자금을 동시에 준비할 수 있는 점이 돋보인다.

특히 장기요양상태에 맞는 보장을 위해 ‘재가급여(가정에서 이용)’와 ‘시설급여(노인요양시설 등에서 이용)’로 특약을 구분해 꼭 필요한 보장만 합리적 보험료로 가입토록 했다. 재가급여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방문요양, 복지용구(휠체어·지팡이 등), 주야간 보호 등 서비스에 대한 지원금은 별도 특약으로 추가 보장된다.

한화생명 The H 간병보험은 합리적 보험료로 간병인 사용 지원금을 보장받는 보험상품이다.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요양병원·일반병원 등을 차등 적용해 간병인 지원금을 지급하며 비갱신형으로 100세까지 보장받을 수 있어 보험료 변동 부담이 없다는 것이 장점이다.

입원보장이 부족한 고객이라면 관련 특약을 추가할 수 있으며 시니어 고객을 위한 다양한 특약도 주목된다. 재해골절치료특약(팔·다리·대퇴골 등)을 탑재했고 신장질환치료, 관절질환치료, 척추 및 근골격계치료 등 보장을 각 특약에 월 수천원의 합리적 보험료로 가입할 수 있다.

더불어 한화생명 건강플러스 종신보험은 국내 3대 성인 질병인 암과 뇌혈관·심장질환은 물론 치매까지 보장한다. 암과 뇌졸중, 특정허혈성심장질환, 중증치매 등 진단시 사망보험금을 80%까지 우선 지급하는데 중증 질환 특성상 치료에 집중토록 보험금을 미리 지급하는 것이다.

또 선지급 여부에 상관없이 최소 10년으로 보험료 납입기간 경과 뒤 사망하는 경우 가입금액 1억원 기준 매월 100만원을 월 급여금으로 총 96회까지 추가로 받게 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송현섭
송현섭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레드페이스, 가을 트레킹 맞춤형 기능성 워킹화 2종 공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본격적인 트레킹 계절인 가을이 오고 있다. 이에 발맞춰 정통 아웃도어 브랜드 레드페이스가 발 편한 기능성으로 나들이부터 트레킹까지 다용도로 활용 가능한 워킹화 2종을 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레드페이스가 출시한 콘트라 벤트 노바 워킹화와 콘트라 셀 코어 워킹화는 모두 갑피에 콘트라텍스 엑스투오 프로를 적용했다. 이는 브랜드가 자체

2

아이파크, K-브랜드지수 아파트 브랜드 부문 1위...힐스테이트·푸르지오 뒤이어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빅데이터 평가 기관인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K-브랜드지수' 아파트 브랜드 부문 1위에 아이파크가 선정됐다고 11일 발표했다. K-브랜드지수는 아시아브랜드연구소가 국내외 연구진과 협력해 개발한 빅데이터 시스템으로, 기존의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과 달리 후보 표본 추출부터 인덱스 선별까지 분야별 자문위원단의 검증을 토대로

3

이주형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사업부장 "삼성 OLED, 미래 모빌리티 핵심 플랫폼"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삼성 OLED는 자율 주행하는 미래 모빌리티와 사람을 연결하는 디지털 플랫폼이 될 것입니다." 이주형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사업부장(부사장)은 10일(독일 현지시간) 'IAA 모빌리티 2025(이하 IAA 2025)'에서 열린 컨퍼런스에 참가해 이같이 강조했다. 지난 9일~14일(현지시간)까지 독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