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올해부터 '준정년 특별퇴직' 연 2회 정례화 앞과 뒤

문혜원 / 기사승인 : 2025-01-10 12:56:24
  • -
  • +
  • 인쇄
만 40세 이상 15년 근속 전 직급 대상
총액 임금 2.8%인상…성과급 250% 예정
퇴직연금 제도 5만원 종전보다 확대
복지포인트로 복지카드 300만원 제공

[메가경제=문혜원 기자] 우리은행이 올해부터 '준정년 특별퇴직'을 정례화한다. 그동안 임금피크제에 진입했거나 진입을 앞둔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특별퇴직은 매년 실시해왔으나 준정년 특별퇴직제도를 통해 일반 직원들에 대한 퇴직 기회를 주게 됐다.

 

▲우리은행이 작년 임단협을 체결하고, 중정년 특별퇴직제도를 도입했다. [사진=우리은행 제공]

 

10일 은행권과 메가경제 취재결과에 따르면 우리은행 노사는 2024년 임단협 및 2025년 1분기 노사협의회를 진행해 최종 임단협을 체결했다. 이번 인사·급여제도 통합안에는 매년 두 차례 준정년 특별퇴직을 실시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임단협 핵심인 임금 인상율은 2.8%로 했다. 임금체결 외 성과급의 경우 240~250%로 책정될 예정이다. 최종 성과급은 올해 주주총회에서 결정된다.

 

준정년 특별퇴직제도의 경우 만 15년 이상 근무하고 만 40세 이상인 직원이 대상이다. 퇴직금과 명예퇴직금은 18개월 치를 지급한다. 

 

준정년 특별퇴직제도의 경우 경쟁사 중에선 하나은행이 고령 직원들의 조기 전직 기회 제공, 급변하는 금융환경에 대한 인력 구조 효율화를 위해 지난 2021년 처음 도입했다. 다른 은행들의 경우 매년 말 희망퇴직을 실시 중이다. 

 

직원복지부분의 경우 종전보다 퇴직연금이 5만원정도가 확대됐다. 오는 2월 3일부터 직원들에게 부여하는 복지포인트를 복지카드에 300만원이 지급된다. 개인연금지원금도 기존보다 5만원이 인상되고 최대 25만원까지 증액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우리은행은 육아휴직제도도 개선했다. 육아휴직은 2년 6개월을 사용할 수 있고, 초등학교 1학년과 2학년생 학부모의 출근 시간을 9시에서 9시 30분으로 늦췄다. 또 육아기에는 단축 근무도 확대한다.

 

그 외 ▲장기근속 휴가 개선 ▲직원 만족 프로그램을 통해 캠핑·테마파크·지역문화 행사 확대  ▲마음 검진제도 도입 ▲이문화체험 실시 (예년 수준 범위 내) ▲휴양소 운영 (예년 수준 범위 내) ▲국외발령직원 이사비 지원 개선 ▲유사산 휴가제도 개선 등이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문혜원
문혜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노랑풍선, 여행 특가 프로모션 ‘옐로팡딜’ 전지역 회차 진행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노랑풍선은 여행 특가 프로모션 ‘옐로팡딜’을 진행한다고 9일 밝혔다. 오는 15일까지 단 1주간 진행되는 이번 옐로팡딜은 △일본 △동남아(베트남, 필리핀) △중국 △사이판 △괌 등 인기 여행지를 대상으로 하며, 숙소부터 식사, 관광까지 전부 포함돼 있는 풀패키지 뿐만 아니라 지방 출발 고객을 위해 '청주 출발' 상품도

2

갤럭시라이프스타일, 신규 BI 공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갤럭시라이프스타일이 새로운 BI(Brand Identity)를 공개했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의 남성복 갤럭시라이프스타일은 브랜드명을 GLXY로 표현하여 모던함을 강조하면서도 가독성을 높인 새 로고를 9일 공개했다. 갤럭시라이프스타일은 국내 남성복 시장을 선도하는 갤럭시의 세컨드 브랜드로서 출근룩과 일상복 모두를 만족시키는 비즈니스 캐

3

초코에몽도 ‘무가당’이 대세…설탕 뺀 가공유, 글로벌 트렌드 부상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설탕을 뺀 ‘무가당 가공유’가 글로벌 식음료 시장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건강과 즐거움을 동시에 추구하는 ‘헬시플레저’ 확산과 당 섭취를 줄이려는 소비자 니즈가 맞물리면서 국내외 유업계도 잇따라 무가당 제품 출시 경쟁에 나서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마켓 리포트 월드에 따르면 2024년 약 54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 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