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 '우리집 착한종신보험' 출시···"보험료↓ 상속자산 실속↑"

황동현 / 기사승인 : 2022-08-09 11:05:36
  • -
  • +
  • 인쇄
저(低)해지환급금형, 실속있는 상속자산 및 상속세 재원마련 가능
납입기간, 가입연령 확대, 고객 니즈 따른 선택폭 넓혀

삼성생명이 보험료 부담을 낮춘 착한 종신보험을 선보인다. ‘저(低)해지환급금형’으로 실속있는 상속자산과 상속세 재원마련이 가능하다. ‘저(低)해지환급금형’은 중도에 계약이 해지될 경우, 유해지환급금형 상품보다 해지환급금이 적은 대신 상대적으로 낮은 보험료로 가입할 수 있는 상품이다. 납입기간과 가입연령 확대로 선택폭을 넓힌 것도 특징이다.


삼성생명은 사망보장에 실속있는 상속자산과 상속세 및 유족생활자금 준비가 가능한 '삼성 우리집 착한종신보험'을 출시한다고 9일 밝혔다.
 

▲ 삼성생명이 사망보장에 실속있는 상속자산과 상속세, 유족생활자금 준비가 가능한 '삼성 우리집 착한종신보험'을 출시한다. [사진=삼성생명 제공]


'우리집 착한종신보험'은 납입기간 중에 해지될 경우에는 유해지환급금형 상품 해지환급금의 30%, 납입이 끝난 뒤에 해지될 경우에는 유해지환급금형 상품 해지환급금의 50%를 지급하는 ‘저(低)해지환급금형’으로 설계됐다. 

 

삼성생명은 "이 상품은 당사 기존 유해지환급금형 상품보다 높은 2.75%의 적용이율(보험료를 산출할 때 적용하는 이율)을 주보험에 적용해 보험료를 더욱 낮췄다"며, "당사 다른 저(低)해지환급금형 상품 대비 낮은 보험료로 높은 사망보장자산 준비가 가능해 실속있는 상속자산 준비와 상속세 재원 마련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우리집 착한종신보험'은 고객의 다양한 보장니즈에 맞춰 기존 저(低)해지환급금형 상품대비 납입기간과 가입연령을 확대했다. 주보험의 경우 납입기간은 5년/12년/25년/30년납을 신설, 5년/7년/10년/12년/15년/20년/25년/30년납 중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5년납의 경우 80세까지 가입이 가능해 보다 많은 고객이 보장을 준비할 수 있게 했다.

가령 40세 남성, 표준체, 20년납, 주보험 가입금액 1억원인 경우 가입시 월 보험료는 16만 3000원이다. 고의적 사고 및 2년 이내 자살 시에는 사망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 '우리집 착한종신보험'은 합리적인 보험료로 종신보험 본연의 기능인 사망보장에 집중한 상품“이라며, ”상속이 대중화된 시대에 실속있게 상속자산을 준비하고 싶은 고객에게 적합하다”고 말했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대전자동차정비학원 현대직업전문학교, 내일배움카드 ‘자동차정비 산업기사 및 친환경 전기’ 국비지원 모집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대전 국비자동차정비학원 현대직업전문학교가 자동차정비 산업기사 및 친환경 전기(전기내선공사) 관리자 양성과정 국비지원 무료교육 훈련생을 모집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교육 과정은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자와 대전내일배움카드 소지자 등 만 15세 이상 취업 희망자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으며, 훈련비 전액이 국비로 무료 지원된다. 또한

2

하림, ‘피오봉사단 12기’ 해단식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하림의 소비자와 임직원 가족들로 구성된 환경봉사단 ‘피오봉사단’이 25일 전북학생해양수련원에서12기 해단식을 갖고 올해 활동을 마무리했다고 28일 밝혔다. 해단식에 앞서 피오봉사단 가족들은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솔섬 해변 일대에서 해변 정화 활동을 펼쳤다. 해변 곳곳을 누비며 피서객들이 남긴 쓰레기와 파도에 밀려온 폐플라스틱, 비닐

3

'신랑수업' 김일우, 中 장자제서 둘만의 투어! 박선영 "더 좋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신랑수업’ 김일우♥박선영이 중국 장자제(장가계)에서 단 둘만의 오붓한 투어에 나선다. 29일(수) 밤 9시 30분 방송하는 채널A ‘요즘 남자 라이프-신랑수업(이하 ‘신랑수업’)’ 186회에서는 김일우가 박선영과 장자제의 각종 명소를 함께 둘러보며 알콩달콩한 케미를 발산하는 모습이 그려진다. 이날 김일우는 “선영이 테라스가 있는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