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디스플레이, CES 2025서 IT·차량용 OLED 신제품 공개

노규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1-05 12:18:25
  • -
  • +
  • 인쇄
"태블릿이 노트북, 모니터로"...18.1형 IT 폴더블 OLED 최초 공개
UPC, HUD 등 차량용 신제품도 대거 출시...OLED 체험공간 마련

[메가경제=노규호 기자] 삼성디스플레이가 ‘CES 2025′에서 IT 기기 및 차량용 OLED 신제품을 대거 선보인다고 5일 밝혔다.

 

삼성디스플레이가 'CES 2025'에서 18.1형 IT 폴더블 제품을 최초로 공개한다고 밝혔다. [사진= 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는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5에서 태블릿, 노트북, 모니터 등 IT 기기용 OLED 패널과 차량용 디스플레이 신제품을 전시한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최초로 공개되는 18.1형 폴더블 패널, 슬라이더블·멀티폴더블(두 번 이상 접는) 제품, 차량용 UPC(Under Panel Camera) 및 벤더블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 등 혁신적인 OLED 제품들이 주목받을 전망이다.

 

이번 전시에서 공개되는 IT용 18.1형 폴더블 OLED는 펼쳤을 때는 태블릿 두 개를 합친 수준의 화면을 제공하고, 접으면 13.1형 노트북 크기로 변환돼 휴대성을 높였다. 또 화면 크기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슬라이더블 플렉스 듀엣, 슬라이더블 플렉스 솔로, 슬라이더블 플렉스 버티컬 등의 OLED 패널이 선보인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러한 폼팩터 제품들이 차세대 IT 기기에서 OLED가 갖는 차별화된 가치를 보여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차량용 OLED 신제품으로는 디스플레이 밑에 카메라를 숨겨 안전 주행을 지원하는 UPC 기술, 대시보드 형태에 맞춰 구부러지는 벤더블 CID, 계기판을 대체하는 대화면 HUD(Head Up Display) 등이 공개된다. 특히 차량용 UPC 기술은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는 동시에, 디스플레이와 카메라가 일체화되어 디자인 심미성까지 강화했다.

 

또한, 삼성디스플레이는 2025년형 QD-OLED 신제품도 선보인다. 최대 4000니트 밝기를 구현한 TV용 QD-OLED와 초고화질의 게이밍 및 전문 모니터용 패널이 공개되며, 이러한 패널은 뛰어난 색재현력과 명암비로 사용자들에게 탁월한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

 

한편 이번 삼성디스플레이 전시장 입구에서는 '로봇 개'가 관람객을 맞이한다. 이 로봇 개는 삼성디스플레이 베트남 법인에서 무인화 인프라 운영을 위해 활용하는 로봇으로, 이번 전시를 위해 새롭게 프로그래밍하고 눈 위치에는 원형 OLED를 탑재, '올레도그(OLEDog)'라는 이름으로 재탄생했다. 

 

올레도그는 바닥에 놓인 패널 위에서 탭댄스를 추거나 덤블링을 돌며 공중에 걸려있는 플렉서블 패널을 뒷발로 차는 등 퍼포먼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노규호 기자
노규호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