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하루 거래액 22조 '슈퍼 호황'...'업비트·빗썸' 거래소 돈방석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11-14 15:09:41
  • -
  • +
  • 인쇄
코스피·코스닥 하루 거래대금 합한 것보다도 수 조원 많아
업비트, 상반기 1인당 평균 급여 1.3억...4대 은행의 2배 이상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발 호재로 가산자산 시장이 호황을 누리면서 국내 주요 개래소들도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 

 

14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는 원화 마켓에서 일반 주문 시 0.05%, 예약 주문 시 0.139%의 거래 수수료를 각각 부과하고 있다. 거래 규모가 클수록 회사가 가져가는 수수료도 늘어난다.

 

▲서울 강남구 업비트 라운지 [사진=연합뉴스]

 

실제로 업비트를 통한 가상자산 거래는 지난 13일 오후 5시 30분 기준으로 24시간 동안 약 22조원에 달하는 거래대금이 오갔다.

 

업비트 한 곳에서 하루 새 오간 거래대금이 전날 유가증권시장(10조8640억원)과 코스닥시장(6조8720억원)을 합한 것보다도 훨씬 많은 셈이다. 한국거래소를 능가하는 금융 플랫폼으로 도약한 것이다. 업비트는 국내 시장 점유율이 약 70%에 달하는 1위 기업으로, 과거에도 가상자산 가격이 급등할 때면 실적이 크게 증가했다. 

 

2위 거래소인 빗썸은 원화 마켓에서 업비트보다 0.01%포인트(p) 낮은 0.04%의 거래 수수료를 부과한다. 전날 빗썸에서 거래대금은 8조8383억원으로, 업비트의 절반에 못 미쳤다. 그럼에도 코스닥시장보다는 2조원 가까이 큰 규모다.

 

직원들도 '행복한 비명'을 지를 것으로 보인다.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급여 외에도 다양한 인센티브와 보너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호황을 맞아 ‘돈 잔치’를 벌일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는 올해 상반기에만 직원 624명에게 1인당 평균 1억3373만원에 달하는 급여를 지급했다. 이자 장사로 돈 잔치를 벌인다고 비판받은 4대 시중은행의 같은 기간 평균 급여(6050만원)의 2배 넘게 많은 액수다. 빗썸의 상반기 1인당 평균 급여도 5700만원이었다. 

 

이들 거래소의 자산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체 보유한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가격이 뛰면서 덩달아 무형자산이 불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두나무는 올해 상반기 말 기준으로 1만4641개에 달하는 비트코인을 보유했다. 1비트코인을 1억2000만원씩으로 계산할 때 두나무의 비트코인 평가액은 1조7600억원에 이른다. 시가총액 2위인 이더리움 9089개와 테더 926만4334개 등 알트코인도 다량 보유하고 있는데 현재는 각 코인 보유량이 더 늘었을 수 있다.

 

빗썸의 경우 올해 상반기 말 기준 비트코인 127개, 이더리움 5386개 등을 보유했다.

 

상위권 가상자산업체 한 관계자는 “미국 대선 이후 시장이 더 호조세를 보이며 거래량이 늘어난 게 사실”이라며 “업계는 외부에서 보는 것보다 차분한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