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형 미적용 시 주행거리 400km 미만 보조금 차감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현대자동차의 경형 SUV 캐스퍼가 올해 하반기 전기차 모델로도 출시될 예정인 가운데 차 크기가 경형 규격을 벗어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업계에서는 이 차량이 소형으로 분류될 경우 주행거리에 따른 보조금이 줄어들지 관심이 모아진다.
25일 업계와 일부 언론 등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 2월부터 캐스퍼 전기차의 시범 생산을 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 유력한 모델명은 '캐스퍼 일렉트릭'으로 알려졌으며 정식 출시는 올 하반기다. 기존 캐스퍼와 같이 광주글로벌모터스(GGM) 공장에서 위탁 생산된다.
![]() |
▲ 현대차 캐스퍼 [사진=현대자동차] |
캐스퍼 전기차는 일반 내연기관 모델 대비 전장과 전폭이 늘어날 것으로 전해졌다. 차량 하부에 배터리를 깔아서 배치하는 전기차 특성에 내부 공간 확보 등이 목적으로 추정된다.
이에 캐스퍼 전기차는 기존 경형 규격을 벗어날 확률이 높아졌다. 현재 국내 경형 자동차 기준은 배기량 1000cc 미만, 전장 3600mm, 전폭 1600mm, 높이 2000mm다.
기존 내연기관 캐스퍼의 전장은 3595mm, 전폭은 1595mm다. 경형 기준보다 각각 5mm 작아 가까스로 규격 내에 들어온 셈이다. 여기서 전장과 전폭이 조금만 늘어나도 캐스퍼 전기차는 경형이 아닌 소형으로 분류되게 된다.
업계는 캐스퍼 전기차가 소형으로 분류될 경우 보조금이 깎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올해 개편된 정부의 보조금 정책에는 ▲가격 상한선 ▲주행거리 ▲배터리 재활용 계수 등에 따라 보조금을 차등 지급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특히 주행거리 차등 구간은 500km까지 확대됐다. 주행거리 400km 미만인 전기차는 10km당 보조금이 6만원씩 차감된다.
이와 함께 재활용률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알려진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탑재 전기차도 보조금이 깎인다.
캐스퍼 전기차가 경형으로 분류된다면 정부 보조금 정책 차등 지급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므로 보조금을 지킬 수 있다.
하지만 소형으로 분류될 경우 가격 상한선과 주행거리 항목을 충족하지 못하면 보조금이 크게 차감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현대차는 캐스퍼 전기차에 LFP가 아닌 삼원계(NCM) 배터리를 적용해 주행거리를 최대화할 것으로 전해진다. NCM 배터리 적용으로 인해 보조금 차등 정책 배터리 재활용 계수 항목에서도 유리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또한 상품성에 방점을 찍기 위해 기존 캐스퍼에 없던 오토홀드 등의 편의 사양을 추가한다고 알려졌다.
캐스퍼 전기차에 대해 현대차 관계자는 "출시 전까진 아직 알려진 정보가 없어 확인이 어렵다"며 말을 아꼈다.
업계 전문가들은 캐스퍼 전기차가 경형 규격을 벗어나 혜택을 잃는 만큼 현대차가 많은 고민을 거쳤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기준에서 1mm만 넘어도 경형 혜택이 없어지기 때문에 제조사가 각오해야 하는 일"이라며 "이에 현대차도 LFP 배터리와 NCM 배터리를 각각 적용 시 생길 이점이나 보조금의 변화, 가성비 등을 내부적으로 면밀히 검토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