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 투뱅크 체제 내부등급법 승인받아···BIS비율 2%이상↑

황동현 / 기사승인 : 2021-07-12 17:44:20
  • -
  • +
  • 인쇄
12일 금융감독원,바젤Ⅲ 기준 신용리스크 내부등급법 승인
▲ BNK금융그룹 사옥전경 [사진=BNK금융지주 제공]

 

BNK금융지주가 감독당국으로부터 내부등급법을 승인받았다. 이에 따라 총자본비율과 보통자본비율이 2%이상 상승이 예상된다.

 

BNK금융지주(회장 김지완)는 12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바젤Ⅲ 기준 신용리스크 내부등급법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BNK는 부산은행(2017년 6월 승인)과 경남은행(2011년 9월 승인) 등 총 9개의 자회사를 보유한 금융그룹으로, 지난 2017년 9월 그룹 통합모형 등의 기반시스템 구축을 완료하고 내부등급법 관련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통제조직, 내부규정 등의 최소 요건을 모두 충족해 내부등급법 승인을 받게 됐다.

내부등급법은 은행이나 은행계열사를 보유한 지주회사가 자체적으로 구축한 리스크모형 및 기준을 적용해 위험가중자산(RWA)을 산출토록 하는 제도로, 금융회사가 자체적으로 평가한 신용등급을 기준으로 추정한 리스크 측정요소(부도율, 부도시 손실률, 부도시 익스포져)를 활용하여 위험가중자산을 산출하는 방식이다.

BNK금융지주의 내부등급법은 특히 부산과 경남, 양행을 통합하지 않고 투뱅크 체제에서 국내 최초로 승인 받았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타 금융지주가 기존 은행의 내부등급법을 중심으로 카드회사나 증권회사의 기준을 맞춘 것과 달리 BNK금융지주는 양행에서 운영 중인 내부등급법 체계를 그룹 기준으로 리뉴얼했다.

BNK금융지주 관계자는 "내부등급법의 승인으로 2021년 3월 기준 BIS 총자본비율은 14.69%, 보통주자본비율은 11.67%로 기존 대비 약 200bp 이상 상승 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리스크 관리체계가 국제결제은행(BIS)에서 정한 글로벌 기준을 충족해 높은 수준의 대외 공신력을 얻게 되었으며 향후 투뱅크 체제 금융지주회사 내부등급법 승인의 기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BNK금융그룹 김지완 회장은 “국내 최초 투뱅크 체제에서의 내부등급법 승인으로 BNK금융지주의 높은 리스크관리 수준을 증명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BNK금융그룹은 이번 내부등급법 승인을 날개로 삼아 코로나19로 어려운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의 지원을 더욱 강화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혈맥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독자 AI 모델' SKT 정예팀 "대한민국 AI의 새로운 전환점 열 것"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텔레콤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독자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착수식을 통해 대한민국 AI 기술의 새로운 전환점을 열겠다고 10일 밝혔다. 지난 9일 오후 서울 명동 르메르디앙 서울 호텔에서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비롯해 박윤규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원장,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5개 정예팀 대표 등 주

2

정관장, '기다림 평정 에디션'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정관장은 침향 전문 브랜드 ‘기다림 침향’이 ‘기다림 평정 에디션’을 이번 추석 한정으로 선보인다고 10일 밝혔다. 새로 출시된 ‘기다림 평정 에디션’은 정관장 기다림 침향액과 ‘메누하’의 프리미엄 인센스를 함께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에디션 구성에는 정관장 기다림 침향액 20병과 함께, 모닝·나이트 콜렉션 인센스 스틱 40개,

3

아모레퍼시픽, AI기반 피부자극 자동진단기술 발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아모레퍼시픽이 ‘인공지능(AI) 기반 피부 자극 자동 진단 기술’을 독자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관련 연구 논문은 지난 8월, 유럽접촉피부염학회(ESCD) 공식 학술지인 'Contact Dermatitis' 온라인판에 게재했다.(논문명: Evalu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Assist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