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인과 크리에이터까지?... 틱톡이 보여준 2018년 한국시장 성장 돌아보니

강한결 / 기사승인 : 2018-12-23 09:03:17
  • -
  • +
  • 인쇄

[메가경제 강한결 기자] 영상 애플리케이션 틱톡(TikTok)이 2018년을 마무리하며 가장 인기를 모은 셀럽, 크리에이터, 챌린지 및 사운드 트랙을 공개했다.


2018년 전세계 많은 셀럽들은 틱톡을 팬들과 소소한 일상을 공유하는 즐거운 소통의 공간으로 애용g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스타 중에서는 대표적으로, 일본 가수 캬리 파뮤파뮤와 푸에르토리코 래퍼 대디 양키 등이 수 많은 틱톡 팬들을 확보하며 많은 인기를 끌었다.



#JennieSolo 챌린지 [사진=틱톡 제공]
#JennieSolo 챌린지 [사진=틱톡 제공]


국내에서도 많은 연예인들이 틱톡을 이용하며 저력을 증명하기도 했다. 팔로워 약 330만 명을 보유한 블랙핑크는 틱톡 플랫폼을 통해 팬들과의 접점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특히 지난달 8일 블랙핑크 멤버 제니의 솔로곡 ‘Solo’를 바탕으로 ‘#JennieSolo’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했다. 해당 프로젝트는 진행 한 달 만에 영상 게재 56만 건, 조회수 2억 1800회 이상을 기록하며 뜨거운 반응을 보였다.


이외에도 배우 이종석과 남주혁, 가수 홍진영, 선미, 걸그룹 위키미키 멤버 최유정 등이 틱톡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팬들과 소통해 오고 있다. 틱톡 공식 모델로도 활동 중인 그룹 아스트로 멤버 차은우 역시 활발한 틱톡 온오프라인 활동을 통해 팬들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틱톡 인플루언서 듀엣 영상 (왼쪽부터, ElinaKarim, 옐언니, 댄서 소나, Yooni Lee) [사진=틱톡 제공]
틱톡 인플루언서 듀엣 영상 (왼쪽부터, ElinaKarim, 옐언니, 댄서 소나, Yooni Lee) [사진=틱톡 제공]


연예인뿐 아니라 1인 방송 크리에이터 역시 틱톡을 하나의 콘텐츠로 사용했다. 이로 인해 틱톡 플랫폼에서 높은 인기와 영향력을 가진 인플루언서들을 배출하기도 했다.


국내 크리에이터 중에서는, 220만 명 이상의 팔로워를 보유한 ElinaKarim과 특유의 개성으로 틱톡 콘텐츠 트렌드를 이끄는 옐언니, 열정적인 댄스 영상으로 유명한 댄서 소나와 Yooni Lee 등이 100만 명 이상의 팔로워를 확보하며 전 세계적인 열풍을 일으켰다.


그렇다면 연예인들과 크리에이터들이 틱톡에 열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관계자들은 틱톡의 성장 동력을 쉽게 각인되는 사운드 트랙도 뽑았다. 틱톡은 크리에이터들이 기억하기 쉬운 노래들을 바탕으로 중독성 있는 영상들을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했으며, 많은 사용자들이 음원을 활용해 콘텐츠를 재생산하며 플랫폼 확대를 위한 선순환 구조를 정립했다.


한국 유저들은 손가락 댄스의 배경음악 ‘핑거템포(fingertempo)’와 귀여운 음색이 특징인 ‘고양이송’ 등을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틱톡은 지난 19일 2018년 자신의 활동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추억 회상 서비스 ‘틱톡 2018 돌아보기'를 선보였다. 모두가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는 틱톡의 비전이 반영된 본 서비스가 사용자들에게 자신만의 콘텐츠 히스토리를 제공해 1인 크리에이터 활동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향후 콘텐츠 제작에 있어 영감을 줄 수 있을지 기대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한결
강한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김건희 특검, 한문혁 검사 파견 해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수사를 이끈 한문혁 부장검사가 김 여사의 계좌 관리인으로 알려진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와 만난 정황이 드러나 업무에서 배제됐다. 김건희 특검팀은 26일 공지를 통해 “파견근무 중이던 한문혁 부장검사가 수사를 계속하기 어렵다고 판단된 사실관계가 확인됐다”며 “지난 23일 자로 검찰에 파

2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 11월 상시교육 실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NH농협은행은 전국 14개 청소년금융교육센터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11월 상시교육을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 ‘변화하는 돈의 가치’라는 주제로 학생들은 수요·공급 변화에 따른 물건 가격의 변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소비자물가지수 등에 대해 학습할 예정이다.본 교육은 총 14개 지역[서울(본부), 서울(강남), 강원, 경기,

3

LG전자, ‘Future 2030 서밋’ 개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LG전자는 6G, AI, 양자, 우주산업 등 미래 핵심기술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기술 주도권 선점을 위한 논의에 나섰다. LG전자는 지난 24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LG전자 서초R&D캠퍼스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과 함께 ‘Future 2030 서밋’을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