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엔지니어링, IPO 절차 본격 착수...‘LG엔솔’ 이어 공모주 시장 달구나

이석호 / 기사승인 : 2022-01-24 03:20:27
  • -
  • +
  • 인쇄
장외시장 시총 8조 육박...25~26일 기관 수요예측
공모 자금, 에너지·친환경 등 신사업에 투자

올해 첫 공모주 청약 시장에서 무려 114조 원가량의 자금을 끌어모으며 역대급 흥행 돌풍을 일으킨 LG에너지솔루션에 이어 현대엔지니어링이 기업공개(IPO) 절차에 본격 착수한다.
 

▲ 현대엔지니어링 사옥



현대엔지니어링은 오는 25~26일 기관 수요예측을 거쳐 내달 중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될 예정이다.

시가총액이 최대 6조 원 이상으로 예상되는 대어급 상장으로 올해 공모주 시장에서 흥행 여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장외주식 거래 플랫폼인 38커뮤니케이션에 따르면, 지난 21일 기준 현대엔지니어링 주가는 10만 5000원으로 시가총액이 약 7조 9751억 원에 달한다.

희망 공모가 범위는 5만 7900원~7만 5700원으로, 최상단 기준 시가총액은 약 6조 525억 원에 이른다. 공모 규모는 9264억 원~1조 2112억 원이다.

모회사인 현대건설의 지난 21일 기준 시가총액은 4조 7772억 원이다.
 

▲ 현대엔지니어링의 우즈베키스탄 GTL 플랜트 주경 [사진=현대엔지니어링 제공]


현대엔지니어링에 따르면, 지난 2020년 말 기준 매출은 플랜트/인프라 45.5%, 건축/주택 43.5%, 자산관리 및 기타 11%로 구성됐으며, 국내외 매출 비중도 각각 50%다.

최근 3개년간 매출은 2018년 6조 2862억 원, 2019년 6조 8011억 원, 2020년 7조 1884억 원으로 꾸준히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3분기까지 영업이익이 3142억 원으로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해 코로나19 확산 사태 이후 수익성도 회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같은 기간 신규 수주 규모는 10조 146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44.6% 늘었다. 수주 잔고는 약 27조 7800억 원이다.

특히, 재무 건전성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유동비율은 226.3%이며, 부채비율은 59.4%로 동종 업계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 현대엔지니어링 신사업 투자계획(~2024년) [출처=전자공시시스템]


이번 공모 자금은 CO₂ 처리·자원화 사업, 폐기물 소각·매립장 운영, 차세대 소형원자로(MMR) 발전소 건설 등 신사업 투자에 쓰일 계획이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에너지 전환 및 친환경 분야에서 신사업을 추진하면서 현대차그룹의 에너지 전담 회사로 거듭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에너지 전환 분야에서는 ▲폐플라스틱 자원화 ▲암모니아 수소화 ▲초소형원자로 ▲자체 전력 생산사업 등을 추진 중이며, 친환경 분야에서 ▲CO₂ 자원화 ▲폐기물 소각·매립 사업을 각각 준비하고 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