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준하, "월 매출 4억이라더니" 36억 강남 아파트 강제 경매넘어가 '무슨 일?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12-03 09:38:30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개그맨 정준하가 주류 유통 도매업체와의 대금 문제로 서울 상성동집이 경매에 넘어갔다. 

 

▲정준하가 자신이 소유한 삼성동 집에 대한 강제 경매 개시를 당한 소식이 알려졌다. [사진='얼굴천재 박은수' 영상 갈무리]

 

2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지난 7월 정준하가 소유한 서울 삼성동 집에 대한 강제 경매 개시 결정을 내렸다. 

 

이 집은 2005년 정준하와 그의 부친이 절반씩 지분비율로 취득했다. 채권자는 한 주류 유통 도매업체로, 채권액이 2억 원대로 알려져 경매에 앞서 변제할 가능성도 있다.

 

채권자는 주류유통업체인 A사다. A가 측은 "정준하로부터 2억 3293만 812원을 못 받았다"고 주장하며 이 같은 경매를 신청했다. 다만 정준하는 오랜기간 알고 지냈던 업체에서 무이자로 돈을 빌리기로 했고, 올해 6월 모두 변제했다는 주장이다. A사 측과 작성한 공정증서에 무이자를 명시하는 내용과 함께 지연손해금이 24%라는 것을 나중에 알게 됐다는 입장이다.

 

경매 대상이 된 해당 집의 1차 매각 기일은 오는 10일이다. 정준하 측은 지난달 29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경매 결정을 취소해달라는 청구이의 소와 함께 경매를 긴급히 정지할 수 있는 강제경매정지신청까지 별도로 제출한 상황이다.

 

앞서 정준하는 지난달 13일 방송인 박명수의 유튜브 채널 '얼굴천재 차은수'에 출연해 서울 서초구에 운영 중인 횟집의 매출과 고정 지출을 밝혀 화제를 모은 바 있다. 당시 정준하는 "오픈 2시간 만에 매출 100만 원을 찍었다. 웬만한 방송 몇 개 하는 것보다 장사하는 게 낫다는 생각은 한다, 그래도 방송은 해야 한다"며 "가게를 5개 하는데, 그중 아픈 손가락이 한 두 개 있다. 하나는 8년 만에 문을 닫는다"고 밝혔다. 

 

이어 정준하는 "코로나 때부터니까 거기서 많이 날렸다. 내일 마지막으로 의미 있게 장사하려고 한다"고 폐업 소식을 전했다. 정준하는 매출과 관련, "평일은 한 1000만 원 팔고, 주말에는 1500만~2000만 원 팔고 있다. 월세가 부가세 포함해서 3200만 원이다. 월세가 높다, 직원은 아르바이트 포함해 20명이 넘는다, 지난달 직원 말고 아르바이트생 인건비만 4500만 원 나갔다"고 밝혔다. 

 

그는 "월세, 재료비, 관리비 내도 남긴 남는다, 그런데 원재료가 비싸다, 횟값이 80% 올랐다, 동업이라서 떼면 많이 안 남는다. 허탈감만 제일 많이 남는다"고 전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추석 과일 가격 걱정인데...사과·배 도매 가격 '하락' 전망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추석을 앞두고 명절 수요가 많은 사과·배 출하가 지난해보다 늘어 도매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추석 성수기(추석 전 2주) 사과와 배 출하량이 각각 작년 대비 7% 늘 것으로 예측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추석이 10월 6일로 지난해(9월 17일)보다 20일 가까이 늦어 출하량이 늘었다고 분석

2

신세계그룹, 12년째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이어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그룹이 ‘청년을 위한 인문학 사회공헌 프로젝트, 지식향연’을 12년째 이어가고 있다. 전 국민이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비전 아래 2014년 출범한 지식향연은 일회성 강연에 그치지 않고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인문학 지식나눔, 인문학 콘텐츠 발굴을 목표로 매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지식향연 프로젝트를 통해 인문학

3

롯데마트, 민들레학교에 친환경 업사이클링 시설물 기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마트는 지난 5일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구리광장에서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시설물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진주태 롯데마트·슈퍼 준법지원부문장, 김준현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본부장, 이양현 구리남양주민들레학교장을 비롯해 구리시민 5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전달식은 지난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