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미 모자 "횡령 혐의? 연예인 망신주기 여론몰이 시도한 것" 맞고소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01-24 08:27:44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배우 김수미와 아들 정명호 나팔꽃F&B(이하 나팔꽃) 이사가 업무상 횡령 등 혐의로 피소된 것과 관련해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 김수미가 최근 나팔꽃 F&B로부터 횡령 혐의로 소송을 당한 것과 관련해 억울함을 주장하며 맞고소했다. [사진=서효림 인스타그램"

 

김수미 측의 법률대리인인 장희진 가로재 법률사무소 변호사는 23일 공식 입장문을 발표해 "이 사건은 정 이사가 지난해 11월 주식회사 나팔꽃의 송 모 씨를 사문서위조 및 행사, 횡령 및 사기 등의 혐의로 성동경찰서에 고소하고, 송 씨가 사문서위조를 통해 대표이사로 등기되었다는 판단 등에 대해 주식회사 나팔꽃의 관할인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원에 송 씨에 대한 직무집행정지를 신청해 법원의 결정을 앞둔 가운데 발생했다. 최근 송 씨가 김수미, 정 씨를 고소하고 이어서 바로 언론에 제보를 한 것으로 의심되는 사안"이라고 밝혔다.

 

이어 "송 씨는 그동안 수차례 자신에 대한 형사고소를 취하해줄 것을 요구해왔으나, 김수미 측이 이에 불응하자, 연예인이라는 점을 악용해 언론에 망신주기와 여론몰이를 시도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송 씨의 일방적인 주장일 뿐인 고소 사실 언론 공개에 대해서는 명예훼손의 책임도 엄히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아가 장 변호사는 "김수미가 연예인이라는 이유로 억측과 허위사실 유포의 먹잇감이 되지 않도록 도와주실 것을 간곡히 부탁드린다"며 "김수미의 며느리 서효림에 대해서도 일부 보도를 통해 '회삿돈으로 고가의 선물 등을 받았다'는 허위 사실이 유포되고 있다. 이 또한 바로잡아 주시기 바란다"고 요청했다.

 

마지막으로 장 변호사는 "최선을 다해 법과 원안에서 사실관계를 다투어 진실을 찾고자 하는 저희의 입장을 이해해 주시고, 법의 판단을 통해 결과가 나올 때까지 지켜봐 주시기 바란다"면서 "김수미 모자가 오랫동안 많은 분으로부터 과분한 사랑을 받아온 연예인이자 공인으로서 신년 벽두에 이런 불미스러운 일을 전하게 돼 송구스럽다는 뜻도 전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나팔꽃 F&B는 최근 서울 용산경찰서에 김수미 모자를 고소했다. 이 회사는 고소장에서 김수미 모자가 10년 동안 독점 계약한 '김수미' 브랜드 상표권을 무단으로 타인에게 판매하고 회삿돈 6억여원을 횡령했다고 주장했다. 나팔꽃의 대표이사였던 정 씨는 지난해 11월 이사회 결정으로 해임됐으며, 현재는 사내이사를 맡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다이소몰, '크리스마스 꾸미기 마켓' 행사 진행
[메가경제=정호 기자] 균일가 생활용품점 아성다이소가 운영하는 온라인쇼핑몰 다이소몰에서 ‘Daiso-DAY 크리스마스 마켓’ 행사를 진행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11월 12일 오전 9시부터 16일 오후 6시까지 진행하며, 연말 시즌을 맞아 작년에 큰 인기를 끌었던 ‘어드벤트 캘린더’, ‘춤추고 노래하는 산타’ 등 인기 상품과 올해 새롭게 선보이는

2

기아, '노사 합동 사랑나누기' 기부 캠페인 실시
[메가경제=정호 기자] 기아 노사가 뜻을 모아 우리 사회의 다양한 소외계층을 위한 차량 및 장학금 기부에 나섰다고 12일 밝혔다. 기아 국내사업본부 노사는 전날 서울 압구정에 위치한 브랜드 체험관인 'Kia360'에서 '2025년 노사 합동 사랑나누기' 기부 캠페인을 실시하고 차량 및 장학금 전달식을 진행했다. 2013년부터

3

롯데호텔앤리조트, ‘2025 한국서비스품질지수’ 호텔·비즈니스호텔·리조트 부문 1위 수상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호텔앤리조트가 한국표준협회 주관 ‘2025년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 조사에서 호텔, 비즈니스호텔, 리조트 부문 동시 1위를 차지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수상으로 롯데호텔앤리조트는 호텔 부문 13년 연속, 비즈니스호텔 부문 9년 연속, 리조트 부문 2년 연속 1위라는 기록을 이어가게 됐다. KS-SQI는 기업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