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삼플레이' 신승호, 벨트 해제+상탈 돌발행동에 "도파민!" 전말은?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8-20 09:16:18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석삼플레이’에 게스트로 함께한 신승호가 게임 도중 화끈한 ‘탈의’를 감행하다 공식 사과에 나서 폭소를 자아냈다. 

 

▲'석삼플레이'. [사진=웨이브]

 

19일 공개된 웨이브(Wavve) 선공개 예능 ‘석삼플레이’에서는 ‘해외여행’ 버킷리스트를 목표로, 국내에서 진행하는 여행마다 세 번의 ‘경비 증감 게임’을 진행하게 된 지석진-전소민-이상엽-이미주와 함께, 영화 ‘온리 갓 노우즈 에브리띵’의 주연 배우인 신승호-김지은-박명훈이 첫 게스트로 출격해 왁자지껄 ‘단합대회’를 벌이는 생생한 현장이 공개됐다. 

 

이날 멤버 4인방과 게스트들은 ‘신발 양궁’에 이은 두 번째 경비 증감 게임으로 ‘고요 속의 외침’을 진행했다. 이때 신승호는 ‘헨젤과 그레텔’을 몸으로 설명하기 위해갑자기 벨트를 풀고 상의마저 탈의하는 돌발행동을 감행했고, 현장을 지켜보던 이상엽은 “도파민!”이라며 격하게 환호했다. ‘대혼돈’과 함께 게임이 마무리된 후 전소민이 “언제 걔네가 옷을 벗었냐”라고 항의(?)하자, 결국 신승호는 “죄송하게 됐습니다”라며 ‘무리수 힌트’ 건을 공식 사과했다. 

 

이어 이들은 세 차례의 시도 끝에 2분 안에 ‘고요 속의 외침’ 단어 맞히기에 성공해, 제작진 비용으로 60만 원 어치의 소고기를 구매해 저녁 식사에 돌입했다. 이날의 ‘셰프’ 신승호의 진두지휘 하에 잘 익은 소고기와 라면이 식탁에 오른 가운데, 김지은은 “내일 있을 촬영을 위해 라면은 한 입만 먹겠다”라고 선포했지만, 입이 터져 남의 라면까지 뺏어 먹는 ‘모순 먹방’을 펼쳐 웃음을 자아냈다. 신승호-김지은-박명훈은 “아는 지인들과 놀다 가는 기분, 명절에 가족과 만난 것처럼 즐겁고 행복한 하루였다”라는 소감으로 이날의 특별한 만남을 마무리했다. 

 

멤버 4인방의 마지막 게임은 ‘탁구공 릴레이 옮기기’로, 빨대를 사용해 2분 안에 3개의 탁구공을 옮기는 미션이었다. 이때 전소민은 지석진의 얼굴만 봐도 웃음이 터져, 도전을 연거푸 실패하는 고난이 펼쳐지기도 했다. 더불어 경비 미션 결과에 제작진은 “앞으로의 게임 난이도에 참고하겠다”라고 반격을 예고해, 향후 ‘4인방 vs 제작진’의 대결 구도 향방에 관한 기대감을 끌어올렸다. 

 

지석진-전소민-이상엽-이미주의 ‘플렉스’와 ‘짠내’를 오가는 경비벌이 미션 여행기 ‘석삼플레이’는 매주 화요일 오후 5시 웨이브(Wavve)에서 가장 먼저 선공개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LG유플러스, 장애인 인식 개선 위한 '런치콘서트' 개최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LG유플러스는 임직원들의 장애인 인식 개선을 위해 발달장애인 예술인과 함께하는 ‘런치콘서트’를 진행했다고 8일 밝혔다. ‘런치콘서트’는 LG유플러스의 사내 문화행사로, 점심시간에 다양한 문화예술 체험을 결합한 프로그램이다. 이번 행사는 장애인복지 전문단체인 밀알복지재단과 파라다이스복지재단의 협력으로 진행됐다. 서울 용산 LG유플러스

2

2000명 몰린 ‘2025 대한민국 국제 플로리스트 전시회’,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독일 바이에른주 푸르트 임발트에서 개막한 '2025 대한민국 국제 플로리스트 전시회'가 성대한 막을 올렸다. 개막 첫날 2000여 명의 관람객이 몰리며, 인구 2만 명 남짓의 작은 도시에서 수천 명이 몰려드는 진풍경이 연출됐다. 이는 현지 박람회 역사상 유례없는 규모로 기록되며, 한국 플로리스트의 국제적 위상을 입증하

3

하자분쟁 해결 동대구역 역세권 ‘동대구역 엘크루 더센트럴’ 선착순 할인 분양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대구 교통의 중심에 자리한 ‘동대구역 엘크루 더센트럴’이 회사보유분을 대상으로 선착순 할인 분양에 나섰다고 8일 밝혔다. 특히 최근 건설업계 전반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아파트 하자 분쟁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 체계적인 사후관리 방안을 마련해 수요자들의 신뢰를 얻고 있다. 동대구역 엘크루 더센트럴은 동대구역 바로 앞 초역세권이라는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