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타이어, '타이어 보이' 점검 결과 차량 공기압 빨간불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6-26 09:13:44
  • -
  • +
  • 인쇄

[메가경제=정호 기자] 한국앤컴퍼니그룹의 글로벌 선도 타이어 기업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가 대구 삼성 라이온즈파크,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에서 타이어 안전 점검 이벤트 '타이어 보이(Tire Boy)'를 진행했다고 26일 밝혔다.

 

한국타이어는 대구 삼성 라이온즈파크에서 '타이어 보이' 이벤트를 선보였다. 이벤트는 타이어 중심 자동차 토탈 서비스 전문점 ‘티스테이션(T’Station)’을 통해 여름철 프로야구 팬들의 안전하고 쾌적한 드라이빙 환경을 지원하고자 기획했다.

 

▲ <사진=한국앤컴퍼니그룹>

 

이벤트 기간 야구장에서 맥주를 판매하는 맥주 보이(Beer Boy) 콘셉트의 '타이어 보이'들이 경기장을 찾은 총 712대의 차량의 타이어 상태와 공기압을 점검했다. 그 중 약 65%인 460대에서 타이어의 공기압이 부족하거나 지나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공기압이 부족하면 지면과 접촉하는 타이어의 가장자리에 편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주행 중 급제동 시 쏠림 현상으로 이어져 차선을 이탈하는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고, 타이어 옆면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스탠딩 웨이브(Standing Wave)'가 일어나 심한 경우에는 주행 중 타이어 파손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공기압이 과도하게 주입되면 팽창으로 인해 타이어의 성능을 제대로 구현하기 어렵다. 특히, 코너링 시 제동력과 핸들링이 제대로 뒷받침되지 않아 주행 안정성이 저하되면서 사고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또 높은 공기압으로 갑작스러운 외부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면서 승차감 만족도가 낮아진다.

 

타이어는 적정 공기압을 주입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차량별 타이어 적정 공기압은 운전석 문 안쪽 스티커나 차량 매뉴얼을 통해 확인 가능하며, 공기압 이상 여부는 계기판의 'TPMS(타이어 공기압 경보 장치,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경고등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한국타이어는 타이어 제품에 대한 운전자 인식과 관여도 변화에 발맞춰 차별화된 서비스 혁신으로 자기주도적 소비 트렌드 확산에도 일조하고 있다. 

 

티스테이션닷컴의 온·오프라인 연계형 원스톱 솔루션 '올마이티(all my T)' 서비스는 차량 번호 등록만으로도 구매부터 결제, 타이어 공기압 등 무상 점검, 안심 운행, 전문상담 서비스까지 '모두, 한번에, 알아서' 관리해주며 최상의 고객 만족을 제공하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부산 광안리, 주민·관광객 함께 즐기는 골목상권 축제 ‘남천바다로 가는 길’ 9월·10월 두 차례 개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의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광안리 세흥시장~광리단길 일대에서 ‘남천바다로 가는 길’ 행사가 9월과 10월 두 차례 열린다. 상인회 소속 개성 있는 상점들이 참여해,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경품 이벤트와 특별한 소비 경험을 선사한다. 부산 수영구 남천바다로에 위치한 해당 골목 상권은 '남천바다로

2

IBK기업은행, ‘NFT지갑 서비스’ 시범 운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산에 발맞춰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지갑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NFT지갑 서비스’는 고유성과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인 NFT를 보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지갑 서비스다. 기업은행은 고객들이 직접 NFT 자산을 관리하고

3

잇다컴퍼니, ‘춘천버디즈’ 캐릭터로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 참가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강원도의 디지털마케팅 전문기업 잇다컴퍼니는 지역 기반 IP 사업으로 춘천을 브랜딩하는 팀, ‘춘천버디즈’를 선보이며 지난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에 참가해 성황리에 전시를 마쳤다. 이번 전시는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강원콘텐츠코리아랩의 지원으로 진행된 ‘2025년 국내 전시회 공동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