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 탄소중립 국제인증 'CDP 명예의 전당 플래티넘 클럽' 업계 최초 편입

황동현 / 기사승인 : 2022-01-26 09:37:09
  • -
  • +
  • 인쇄
CDP는 가장 신뢰 받는 글로벌 지속가능성 평가 지표
탄소 배출량 관리, 고탄소 배출 업종 저탄소 전환 등 친환경 금융 가속
▲ 신한금융그룹 [사진=신한금융지주 제공]

 

신한금융그룹이 국내 금융사 최초로 'CDP 명예의 전당 플래티넘 클럽'에 편입됐다. CDP(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arbon Disclosure Project)는 글로벌 금융 투자 기관의 위임을 받아 전 세계 주요 기업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이슈 대응과 관련한 정보 공개를 요청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보고서를 발간하는 프로젝트로 글로벌 지속가능성 평가 지표로 꼽힌다.


신한금융그룹(회장 조용병)은 26일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 한국위원회’가 발표한 ‘CDP Climate Change’에서 국내 금융사 최초로 ‘CDP Korea 명예의 전당 플래티넘 클럽’에 편입됐다고 밝혔다.

글로벌 금융기관의 투자 지침서로 활용되는 CDP는 다우존스 지속가능지수(DJSI), 글로벌 지속가능 100대 기업(Global 100) 등과 더불어 가장 신뢰 받는 글로벌 지속가능성 평가 지표로 꼽힌다.

신한금융그룹은 2018년에 ‘CDP 명예의 전당 골드클럽’에 처음으로 입성했으며 이후 3년 연속 최고 수준의 평가를 받아 2021년에는 국내 금융사 최초로 ‘CDP 명예의 전당 플래티넘 클럽’에 편입됐다.

신한금융 조용병 회장은 "이번 플래티넘 클럽 편입을 통해 신한금융의 탄소중립금융에 대한 진정성을 다시 한번 인정 받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자산 포트폴리오의 탄소 배출량 관리 및 고탄소 배출 업종의 저탄소 전환을 위한 지원 등 친환경 금융 가속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신한금융은 2020년 동아시아 금융 최초 탄소중립 친환경 전략인 ‘Zero Carbon Drive’를 발표하며 친환경 금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런 노력을 인정 받아 신한금융 조용병 회장이 지난해 10월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이하 COP26)’에 아시아 민간금융사 대표로 유일하게 초청돼 글로벌 금융사 CEO들과 함께 탄소중립금융 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또한 COP26의 후속 조치로 설립된 UN의 공식 파트너 기구인 ‘리더십 위원회’에 아시아에서 유일한 멤버로 참여하며 약 35개 글로벌 금융사의 CEO와 함께 공식 대사(Ambassador)로서 탄소중립금융 등 지속가능한 경영에 대해 전파하고 있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김건희 특검, 한문혁 검사 파견 해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수사를 이끈 한문혁 부장검사가 김 여사의 계좌 관리인으로 알려진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와 만난 정황이 드러나 업무에서 배제됐다. 김건희 특검팀은 26일 공지를 통해 “파견근무 중이던 한문혁 부장검사가 수사를 계속하기 어렵다고 판단된 사실관계가 확인됐다”며 “지난 23일 자로 검찰에 파

2

NH농협은행 청소년금융교육센터, 11월 상시교육 실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NH농협은행은 전국 14개 청소년금융교육센터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11월 상시교육을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 ‘변화하는 돈의 가치’라는 주제로 학생들은 수요·공급 변화에 따른 물건 가격의 변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소비자물가지수 등에 대해 학습할 예정이다.본 교육은 총 14개 지역[서울(본부), 서울(강남), 강원, 경기,

3

LG전자, ‘Future 2030 서밋’ 개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LG전자는 6G, AI, 양자, 우주산업 등 미래 핵심기술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기술 주도권 선점을 위한 논의에 나섰다. LG전자는 지난 24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LG전자 서초R&D캠퍼스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과 함께 ‘Future 2030 서밋’을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