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퇴직연금 시장서 수익률 1위 파란...자산운용 증권사 우월 공식 깨

문혜원 / 기사승인 : 2024-06-14 11:07:20
  • -
  • +
  • 인쇄
톱10 금융사들 중 적립수익률 '1위'
원리금비보장 DC·IRP부문서 선두

[메가경제=문혜원 기자] 하나은행이 퇴직연금 시장에서 높은 수익률을 거두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하나은행은 은행·증권·보험사 등 적립금 규모 상위 10개사 중 원리금비보장 확정기여(DC)형, 개인형퇴직연금(IRP) 수익률이 1위를 차지했다. 특히 자산운용 수익률에서 은행보다 증권사가 더 낫다는 인식을 깨는 결과를 낳는 등 파란을 일으켰다. 

 

하나은행의 원리금비보장 확정기여(DC)형, 개인형퇴직연금(IRP) 수익률이 국내 10대 퇴직연금 사업자 가운데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하나은행 제공]

 

14일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에 따르면 은행, 보험사, 증권사 등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 상위 10개 대형 사업자 중 하나은행의 원리금비보장 상품(투자상품)이 최근 1년 간 확정기여(DC)형 15.8%, 개인형퇴직연금(IRP) 14.3%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어 ▲현대차증권 14.6% ▲IBK기업은행 14.1% ▲삼성생명 14.1% ▲KB국민은행 13.9% ▲미래에셋증권 11.3% 순이었다.

 

하나은행은 지난해에도 DC와 IRP 원리금비보장상품 수익률에서 각각 16.15%, 13.93%로 중은행 13.8% ▲신한은행 13.2% ▲우리은행 12.9% ▲NH농협은행 11.7% ▲한국투자증권 중 1위를 달성한 바 있다.

 

이 같은 높은 수익률 탓에 주식시장에서는 증권사보다 하나은행의 수익률이 더 유리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최근 퇴직연금 시장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수익률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하나은행이 퇴직연금 시장을 견인해 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지난해 금융당국에서 퇴직연금 수익률 제고를 위한 '사전지정운용제도(디폴트옵션)'을 도입하는 등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면서 퇴직연금 가입자들의 인식이 많이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원리금보장상품의 수익률은 물가 상승률과 비슷하거나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퇴직연금은 꾸준히 적립해 한꺼번에 받는 저축이라는 인식이 강해 원리금이 보장되는 상품 수요가 많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수익률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덩달아 원리금비보장상품에 대한 수요도 많아지고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확정급여형과 DC형 IRP 등 국내 퇴직연금 적립금은 총 385조7521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338조3660억원) 대비 14% 증가했다. 또 가입자가 직접 투자할 수 있는 DC형과 IRP에서의 원리금비보장 상품 운용 금액은 지난해 1분기 33조원에서 올해 1분기 46조원으로 대폭 상승했다.

 

하나은행은 지난 2021년 은행권 최초로 퇴직연금 상장지수펀드를 출시했다. 지난해에는 은행권 최초로 채권직접편입을 도입해 고객들에게 보다 폭넓은 투자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밖에도 지난 4월 말부터 판매하는 연금인출기상품인 원리금보장형 월지급식DLB의 경우, 원금은 보장되면서 매월 이자금액을 재투자할 수 있는 상품을 출시해 눈길을 끈 바 있다.  

 

하나은행은 퇴직연금 거래 기업 임직원을 위한 찾아가는 연금 리치 세미나를 실시 중이다. 전국 6개 지역에 연금 VIP 고객을 위한 전문 상담센터 연금 더 드림 라운지 등 다양한 퇴직연금 전문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투자에 관심이 많은 퇴직연금 가입자를 잡기 위해 퇴직연금 사업자들의 경쟁도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며 "안정성에 더해 수익률까지 함께 할 수 있도록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문혜원
문혜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추석 과일 가격 걱정인데...사과·배 도매 가격 '하락' 전망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추석을 앞두고 명절 수요가 많은 사과·배 출하가 지난해보다 늘어 도매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추석 성수기(추석 전 2주) 사과와 배 출하량이 각각 작년 대비 7% 늘 것으로 예측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추석이 10월 6일로 지난해(9월 17일)보다 20일 가까이 늦어 출하량이 늘었다고 분석

2

신세계그룹, 12년째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이어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그룹이 ‘청년을 위한 인문학 사회공헌 프로젝트, 지식향연’을 12년째 이어가고 있다. 전 국민이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비전 아래 2014년 출범한 지식향연은 일회성 강연에 그치지 않고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인문학 지식나눔, 인문학 콘텐츠 발굴을 목표로 매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지식향연 프로젝트를 통해 인문학

3

롯데마트, 민들레학교에 친환경 업사이클링 시설물 기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마트는 지난 5일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구리광장에서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시설물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진주태 롯데마트·슈퍼 준법지원부문장, 김준현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본부장, 이양현 구리남양주민들레학교장을 비롯해 구리시민 5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전달식은 지난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