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타이어 후원, 월드 랠리 챔피언십 '그리스 아크로폴리스 랠리' 개최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6-25 09:47:18
  • -
  • +
  • 인쇄

[메가경제=정호 기자] 한국앤컴퍼니그룹의 글로벌 선도 타이어 기업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가 레이싱 타이어를 독점 공급하는 국제자동차연맹(FIA) 주관 세계 최정상급 모터스포츠 대회 '2025 월드 랠리 챔피언십(2025 FIA World Rally Championship, 이하 WRC)'의 7라운드 '그리스 아크로폴리스 랠리(EKO Acropolis Rally Greece)'가 그리스 중부 라미아(Lamia) 일대에서 개최된다.

 

25일 한국앤컴퍼니그룹에 따르면 그리스 아크로폴리스 랠리는 험준한 산악 지형과 날카로운 자갈 노면, 고온 기후 등으로 드라이버 사이에서 이번 시즌 중 가장 고난도 코스로 손꼽힌다. 오는 6월 26일부터 29일(현지시간)까지 치뤄지는 경기는 17개의 스페셜 스테이지(SS)에서 총 345.76km의 주행 거리를 질주하는 만큼, 2021년 대회 이후 가장 긴 일정에 속한다.

 

▲ <사진=한국앤컴퍼니그룹>

 

이번 대회에 참가하는 드라이버들은 최대 섭씨 40도에 달하는 고온과 돌풍, 암석이 드러난 지형 등 극한 자연 환경에서 최고 시속 200km, 회전 수 최대 8500rpm에 달하는 퍼포먼스를 펼치게 된다. 이처럼 혹독한 조건은 차량과 타이어에 극심한 부담으로 가할 수 있어, 내구성과 접지력 등 타이어 성능이 승부를 좌우하는 핵심 변수로 작용한다.

 

한국타이어는 이번 대회에 비포장 노면의 충격 흡수가 뛰어난 익스트림 전천후 랠리용 타이어 '다이나프로 R213(Dynapro R123)'을 앞세워 기술 경쟁력을 입증한다. 하드·소프트 컴파운드로 제공되는 '다이나프로 R213'은 탁월한 내마모성, 정밀한 조종 안정성, 뛰어난 접지력과 핸들링 성능을 바탕으로 까다롭기로 알려진 전설적인 랠리에서의 완벽한 경기력을 지원할 예정이다.

 

앞서 5월과 6월 초 열린 포르투갈 랠리와 사르데냐 랠리에서도 '다이나프로 R213'은 고속 주행 중에도 균일한 접지력과 내구성으로 드라이버들의 완주를 안정적으로 지원하며, 반복되는 충격과 고하중 상황 등 가혹한조건에서도 퍼포먼스를 성공적으로 검증한 바 있다.

 

현재, WRC1 클래스에서는 '토요타 가주 레이싱 월드 랠리 팀(Toyota GAZOO Racing World Rally Team)' 소속 '엘핀 에반스(Elfyn Evans)'와 ‘세바스티앙 오지에(Sébastien Ogier)’가 드라이버 챔피언십 선두를 달리고 있다. 

 

뒤이어 ‘현대 쉘 모비스 월드 랠리 팀(Hyundai Shell Mobis World Rally Team)’과 ‘M 스포츠 포드 월드 랠리 팀(M-Sport Ford World Rally Team)’의 순위 반격 여부에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