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이 국내외 주요 배터리 소재기업과 글로벌 니켈 공급망 강화에 나선다.
SK온은 지난 24일 2차전지 소재 기업 에코프로, 중국 전구체 생산기업 거린메이(GEM)와 인도네시아 니켈 중간재 생산법인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25일 밝혔다.
![]() |
| ▲ 신영기 SK온 구매담당(앞줄 가운데), 박상욱 에코프로 부사장(오른쪽), 지앙 미아오(蒋淼) GEM 부총경리(왼쪽) 등 3사 관계자들이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SK서린사옥에서 인도네시아 니켈 중간재 생산법인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사진=SK온 제공] |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 니켈 생산국이자 매장국이다. 지난해 인도네시아의 니켈 생산량은 약 100만 톤으로 세계 1위다. 니켈 매장량도 2100만 톤으로 전세계 니켈 매장량의 약 22%를 차지한다.
니켈은 전기차용 배터리에서 리튬, 코발트와 함께 가장 주요한 원소재로 꼽힌다. 니켈 비중이 높을수록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는 높아진다.
이번 협약에 따라 3사는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주 모로왈리 산업단지에 니켈·코발트 수산화혼합물(MHP) 생산공장을 짓고, 오는 2024년 3분기부터 연간 순수 니켈 3만톤에 달하는 MHP를 생산할 계획이다.
이는 전기차 배터리 약 43GWh, 전기차 기준 약 60만 대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이와 함께 향후 전구체 등 원소재 부문에서도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또 3사는 술라웨시주 행자야 광산에서 니켈 산화광을 확보한다.
니켈 산화광은 노천에서 채굴이 가능해 비용이 저렴하고 부산물로 코발트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사는 니켈 산화광을 원료로 MHP를 만들기 위해 고압산침출(HPAL) 제련 공정을 도입할 예정이다.
고압산침출 공정은 높은 온도와 압력 아래 니켈 원광으로부터 황산에 반응하는 금속을 침출하는 방식으로, 순도 높은 니켈 화합물을 만들 수 있다.
3사는 이번에 확보한 MHP를 기반으로 한국에서도 황산니켈과 전구체를 생산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SK온이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한국에서 황산니켈을 조달해 미국 내 전기차 배터리 생산에 투입할 경우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전기차 보조금 지급 요건도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영기 SK온 구매 담당은 "3사 간 협력은 글로벌 니켈 공급망을 안정적으로 구축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면서 "앞으로도 다양한 소재 기업들과 협력해 원소재 공급망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