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MWC서 5G 인프라 관련 가상화 기술 개발 성과 공개

이석호 / 기사승인 : 2022-02-21 10:28:48
  • -
  • +
  • 인쇄

SK텔레콤은 오는 28일 개막하는 세계 이동통신 전시회 'MWC 2022'에서 삼성전자·에릭슨·노키아와 5G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클라우드 가상화기지국 개발 성과를 공개한다고 21일 밝혔다.

SKT는 이번 행사에서 차세대 5G 네트워크 기술의 진화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5G & 비욘드’를 키워드로 제시할 계획이다. 

 

▲ SKT 연구원들이 5G 가상화 기지국 관련 연구를 진행하는 모습 [SK텔레콤 제공]



가상화기지국(vRAN)은 기지국 접속망 장비(RAN)의 다양한 네트워크 기능을 소프트웨어 형태로 탑재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듯 일반적인 서버에 다양한 네트워크 기능을 설치해 기지국 관리에 드는 물리적 시간과 비용을 절감해준다.

기존에는 기지국 구축·관리가 각 장비 제조사 규격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이뤄졌다. 반면에 vRAN은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범용 서버에 공통의 소프트웨어를 설치·제거하고 업그레이드할 수 있어 장비 호환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이통사와 장비사들이 4G 네트워크보다 더 많은 기지국 장비를 구축해야 하는 5G 기지국 관리 작업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 5G vRAN 및 O-RAN 기술 개념도 [SK텔레콤 제공]


SKT에 따르면, 세계적으로도 무선 RAN의 개방형 전환이 가속화되는 추세다.

관련 기술로는 vRAN과 함께 개방형 인터페이스 규격을 통해 다양한 제조사 하드웨어를 이용할 수 있는 오픈랜(O-RAN)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SKT는 개방형 기지국 관련 글로벌 연합체인 O-RAN 얼라이언스와 5G포럼 프론트홀 워킹그룹에 참여하고, O-RAN 기반 개방형 5G 기지국 표준안으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표준을 반영했다.

또 에이치에프알 등 통신장비 분야 국내 강소기업들과 협업해 vRAN과 O-RAN의 연동을 위한 실증도 체계적으로 수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중소장비사들의 5G 장비 시장 진입 기회도 늘어날 것으로 SKT는 전망했다.

박종관 SKT 인프라기술담당은 "다양한 통신장비 제조사가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생태계 관련 기술을 선도하고 국내 중소장비사들이 참여할 수 있는 사업 분야 확대에도 기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K-브랜드지수’ 자산운용사, 미래에셋자산운용 1위 굳건…삼성·신한·한화 뒤이어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빅데이터 평가 기관인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K-브랜드지수' 자산운용사 부문 1위에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선정됐다고 8일 발표했다. K-브랜드지수는 아시아브랜드연구소가 국내외 연구진과 협력해 개발한 빅데이터 시스템으로, 기존의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과 달리 후보 표본 추출부터 인덱스 선별까지 분야별 자문위원단의 검증을 토대로

2

다날, 원화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 본격화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통합 결제 비즈니스 전문 기업 다날은 원화(KRW) 기반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리플(Ripple) 서비스 블록체인 네트워크인 XRP레저(XRPL)를 핵심 인프라 기술로 활용하기 위해 검토에 나선다고 8일 밝혔다. XRPL은 리플이 주요 기여자로 참여하며 전 세계적으로 신뢰받는 탈중앙 퍼블릭 블록체인이다. 지난

3

BBQ, 2025년 경력 사원 공채 실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제너시스BBQ 그룹이 오는 21일까지 2025년 경력 사원 채용을 진행한다고 8일 밝혔다. 채용은 글로벌 3개 부문, 국내 5개 부문으로 진행된다. 글로벌 부문은 미국, 캐나다, 필리핀 등 57개국에서 운영되는 BBQ의 해외매장 관리 디자인 메뉴기획 직군을 모집한다. 국내 부문은 마케팅 마켓센싱 디자인 시공 비지니스 매니저(Bus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