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는 국제망을 이용하는 글로벌 VPN(가상사설망) 네트워크에서 양자내성암호(PQC)를 상용화했다고 13일 밝혔다.
PQC는 양자컴퓨터로도 풀어내는 데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는 복잡한 수학적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암호화 방식이다. SKT는 이번 PQC 상용화를 통해 양자암호 기술영역을 더욱 확대하고 효율적으로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 SKT 연구원들이 국제망에 PQC를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 중인 모습. [사진=SK텔레콤 제공] |
SKB는 지난 8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PQC-VPN 설치를 완료하고, 미국‧일본‧싱가폴 등 해외에서 네트워크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PQC-VPN은 VPN 네트워크의 보안 강화를 위해 PQC 공개키 암호화(PKE)‧키분배(KEM)‧전자서명 알고리즘을 적용했다.
특히 PQC-VPN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NIST(미국표준기술연구소)가 선정한 PQC 알고리즘 최종 후보인 ‘크리스털 카이버’와 ‘크리스털 딜리슘’을 채택했다.
이 두 알고리즘은 향후 PQC 글로벌 표준이 될 가능성이 높아 확장성‧안정성이 뛰어나다고 알려졌다.
이외에도 SKT는 지난해 12월 10Gbps‧100Gbps급 암호모듈에 대한 KCMVP(국정원암호검증모듈) 인증을 국내 최초로 획득한 데 이어 ‘양자통신 암호화장비 하이브리드 키조합’ 기술 개발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기존의 공개키 기반 암호키와 양자키분배방식에서 분배된 양자키를 조합해 기존 암호화 장비의 비밀키로 사용하는 기술이다.
또 SKT는 국가보안기술연구소(NSR)‧정보통신기술협회(TTA)‧전자통신연구원(ETRI) 등과 협력해 보안‧안전성 시험을 사전 검증할 계획이다. 아울러 오는 2023년 정부‧공공시장에서 보안기능 시험제도에 맞춘 제품을 출시해 양자암호통신 시장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박종관 SK텔레콤 인프라기술 담당은 “PQC 상용화를 통해 SK텔레콤이 양자보안기술 전반을 주도하는 기술력을 보유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양자암호기술을 선도하고 양자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