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마 카세 중심으로 FC바르셀로나 선수 등 초청
간담회 질의응답 통해 가격, 배달 수수료 이슈 등 입장 밝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는 8월 1일 FC바르셀로나 야말을 비롯한 주요 선수들을 모시고 사은 행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김성우 BBQ 상무는 지난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BBQ청계광장점에서 열린 ‘BBQ 호프데이’에서 이같이 밝혔다.
![]() |
▲ [사진=심영범 기자] |
BBQ 청계광장점은 지난해 4월 문을 열었다. 루프탑, 야외 테라스 등으로 구성됐다. 현재 치킨과 피자, 파스타, 샐러드, 플래터 등 70가지 메뉴를 운영하고 있다. BBQ에 다르면 봄·가을 시즌 루프탑 이용률이 늘었다. 올해 5월 기준 루프탑 대관률은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BBQ는 다이닝 메뉴 ‘치마 카세’를 중심으로 다양한 메뉴를 FC바르셀로나 선수들에게 선보일 방침이다. 동선 체크와 시설 및 안전 문제 등을 점검해 보고를 마친 상태다.
김성우 상무는 “FC바르셀로나 선수들이 청계광장점을 방문해 K-치킨을 부담없이 즐길 수 있도록 최선의 준비를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 |
▲ 김성우 BBQ 상무가 간담회에서 FC바르셀로나 프로모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심영범 기자] |
BBQ는 세계적인 축구 명문 클럽 FC바르셀로나를 한국에 초청한다. 오는 7월 31일 오후 8시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FC바르셀로나 아시아투어 서울 매치'가 진행된다.
FC바르셀로나의 아시아투어 서울 매치 입장권은 'BBQ앱'에서 진행하는 '골든 티켓 페스타' 프로모션을 통해 배포된다. 프로모션은 다음달 25일까지 45일동안 진행된다.
BBQ에 따르면 1주일만에 413명의 고객이 '2025 FC바르셀로나 아시아투어' 티켓에 당첨됐다.
김성우 상무는 “당초에 대한민국 5000만 국민께 7월 31일 상암에서 좋은 추억으로 남길 이벤트를 선사하고자 했다”면서 “BBQ 뿐만 아니라 오는 6월 30일까지 배민 고객들을 대상으로도 추첨을 통해 1500명을 대상으로 2장씩 3000장의 티켓 증정 이벤트를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동영 BBQ그룹 전무는 “축구협회에서 BBQ가 FC바르셀로나를 초정하는 것에 대해 한국 축구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고 적극적인 지원을 했다”고 밝혔다.
이어 “다만 국제 경기임을 감안해 승인 절차가 까다로워 시간이 소요됐다. 발표 하루 전 오전 10시 30분 승인을 받아 급하게 언론에 초청장을 보냈다”고 설명했다.
이어진 질의 응답 시간에서는 새 정부 들어서 민감한 이슈인 물가, 배달수수료 문제 등에 대한 견해를 제시했다.
![]() |
▲ 이동영 BBQ그룹 전무가 질의응답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심영범 기자] |
지난 13일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는 식품 및 외식 업계 관계자, 전문가들과 비공개로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동영 전무는 “당시 간담회에 참석해 외식 사업자들이 유례 없는 폐업률, 전례 없는 연체율에 시달리고 있다는 의견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가 어려운 외식사업자들의 상황을 고려해 어떤 지원책을 마련해야 할지 고민해야 한다는 질무을 드렸다”고 첨언했다.
이어 “외식 물가가 많이 올랐다고 하지만 전체 경제 규모에서 외식이 차지하는 비중은 5%도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가격 인상과 관련해서는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 전무는 “국민들이 어려운 시기에 가격 인상은 BBQ의 경영 철학과 맞지 않는다”면서 “정부의 물가 안정 기조에 협조할 것이고 가격 인상 계획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 전무는 배달 수수료와 관련해서도 의견을 내놨다. 그는 “500만 외식 자영업자, 소상공인들이 좀더 안정적으로 사업할 수 있도록 배달 수수료를 낮추는 정책을 희망한다”고 밝혔다.
또한 “정부에서 관련 지원금에 대해 구체적인 입장은 들은 바 없다”면서 “언론 보도를 보면 지역 화폐의 형태가 예상된다. 그렇게되면 일정 연매출 이하의 BBQ 매장에서는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경쟁사인 bhc가 고려 중인 ‘자율 가격제’에 대한 의견도 들을 수 있었다. 본사가 가맹점주들에게 강제적으로 가격을 정할 수 없다고 피력했다.
이 전무는 “가격과 운영은 가맹 점주들이 판단하는 것”이라며 “가맹 본사가 가격을 정한다면 이는 강제 행위에 포함돼 법적으로 과징금 부과 대상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만 통일성의 측면에서 본사는 권장 소비자 가격을 제시하고 있다. 자율가격제 등 유사한 제도를 검토하지 않았고 앞으로도 추진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사진=심영범 기자] |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